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9.03

조선시대 평민들의 주반찬은 무엇이었나요?

지금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에는 먹을거리가 넘쳐나서 오히려 문제가 되고있는데요. 과거 조선시대에는 양반들은 그렇다쳐도 평민들은 어떠한 음식들 어떠한 반찬들을 주로 먹었는지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민들의 음식은 자연에서 얻는 채소가 많이 사용 되었으며 나물을 캐고 열매를 따서 반찬을 만들었습니다.

    된장이나 간장에 국과 김치, 나물 한 종류 등으로 매우 소박하였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3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흰쌀밥이 귀해서, 주로 보리밥이었고, 채소위주의 밥상이였습니다. 고기반찬은 아주 귀했기 때문에 평민들은 거의 먹지 못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평민의 경우 기본적인 밥, 국, 김치, 장 외에 생채 또는 숙채, 구이 혹은 조림, 마른반찬이나 장 또는 젓갈 중 세가지 반찬을 내는 반상이었고, 형편이 좀 나은 평민들은 5가지 반찬을 내는 5첩상을 차리기도 했습니다.

    마른반찬, 김치, 구이, 간장, 밥, 국 등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조선시대 평민들의 식생활은 크게 쌀, 나물, 김치, 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쌀은 조선시대 사람들의 주식으로, 밥을 지어 먹었습니다. 쌀이 귀한 만큼, 평민들은 보리나 조, 귀리 등 잡곡을 섞어서 밥을 지어 먹기도 했습니다.

    나물은 조선시대 평민들의 중요한 반찬으로, 봄에는 쑥, 달래, 두릅, 도라지, 여름에는 시금치, 고사리, 도토리, 가을에는 고구마, 배추, 무, 겨울에는 무, 당근, 시금치 등을 나물로 먹었습니다.

    김치는 조선시대 평민들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배추김치, 무김치, 동치미, 파김치, 고춧가루김치 등 다양한 종류가 있었습니다. 김치는 식중독을 예방하고, 비타민 C를 보충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콩은 조선시대 평민들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으며, 된장, 간장, 청국장, 두부, 콩나물 등 다양한 형태로 섭취했습니다.

    이외에도, 평민들은 메밀묵, 밀전병, 콩국수, 떡, 전, 탕 등 다양한 음식을 먹었습니다.

    조선시대 평민들의 식생활은 양반들에 비해 소박하고 검소했지만, 다양한 음식을 통해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할 수 있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 일반 서민들은 보리밥이나 조밥에 주로 나물과 채소를 많이 먹었습니다. 고기는 일년에 한번 제사나 명절에만 맛을 볼수 있었고 그 외에는 구경 조차 힘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