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영악한잉어216
영악한잉어21624.03.25

정상체중 고혈압 원인 궁금합니다ㅜㅜ

나이
3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혈압약
기저질환
고혈압

안녕하세요. 나이 30 남자 원래 173 cm 108kg 이였습니다(혈압모름). 작년 1월부터다이어트 시작후 8월까지 173cm 65kg까지 감량을 했고 현재까지 유지중입니다. 3월 15일에 병원을가서 혈압을 쟀는데 180 110 이 나왔습니다. 약처방 받았습니다. 약(카나브60mg) 처방 이후 당일 기준 4일전 부터 금연 시작했고 약 9일째 먹었고 현재 아침기준 (130~40
,8~90) 저녁기준 (140~160,100~110)나옵니다.몸에 이상증세 같은건 뒷목 뻐근에 다이어트 이후로 손 발이 차갑습니다.안구건조증 처럼 눈이 피곤하긴하고 피부도 일부분이 건조합니다.가슴도 두근 거리고 머리가 좀 뜨겁습니다. 근육량이 줄은 느낌이 듭니다.가족력은 부모님 두 분 다 고혈압이십니다. 고혈압 원인이 궁금합니다.


1.살을 감량했는데도 고혈압인 케이스가 잦나요?
2. 아픈지 모르겠는데 이차성 고혈압일 가능성이 있나요?
3.9일 먹었는데 약효가 제대로 된다고 볼 수 있나요?
4.제가 스트레스를 좀 받는편인데 스트레스로 이정도가되나요?
5.저의 고혈압 원인은 어떤 것들을 강하게 의심해볼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1.살을 감량했는데도 고혈압인 케이스가 잦나요? 흔한 편은 아닙니다

    2. 아픈지 모르겠는데 이차성 고혈압일 가능성이 있나요? 2차성의 경우 검사하기 전에는 알 수 없습니다.
    3.9일 먹었는데 약효가 제대로 된다고 볼 수 있나요? 아직까지는 충분하게 효과가 나오는 것 같지는 않네요 지켜보시죠
    4.제가 스트레스를 좀 받는편인데 스트레스로 이정도가되나요? 2차 대전의 영웅 루즈벨트 대통령은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고혈압이 악화되어 결국 뇌출혈로 운명하셨지요...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입니다.
    5.저의 고혈압 원인은 어떤 것들을 강하게 의심해볼 수 있을까요? 정황상 본태성 고혈압. 그러니까 특별한 원인이 없는 고혈압의 가능성이 가장 높겠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1. 살을 감량했음에도 불구하고 고혈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잦은가요?

      체중 감량은 고혈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고혈압은 체중 외에도 유전, 식습관, 생활 습관,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체중 감량만으로는 고혈압을 완전히 통제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이차성 고혈압일 가능성이 있나요?

      이차성 고혈압은 다른 의학적 상태나 약물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혈압을 의미합니다. 신장 질환, 내분비 질환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체중 감량과 고혈압 사이에 명확한 관련이 없는 경우, 이차성 고혈압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특히 젊은나이의 심한 고혈압이면 관련검사가 필요합니다.

    3. 약을 9일 동안 복용했는데, 약효가 제대로 나타나는 것인가요?

      대부분의 고혈압 약물은 복용 후 몇 주 안에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사람마다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4. 스트레스가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스트레스는 일시적 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지속되는 스트레스는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리는 고혈압 관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5. 고혈압의 원인은?

      고혈압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가족력, 식습관, 체중, 생활 습관,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숨겨진 건강 문제나 이차성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의학적 상태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1. 살을 감량했음에도 고혈압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체중 감량이 고혈압 예방과 관리에 도움이 되지만, 체중 외에도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이차성 고혈압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습니다. 그러나 가족력과 생활습관 등을 고려할 때 본태성 고혈압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9일 정도 약을 복용한 후에도 혈압이 정상 범위로 조절되지 않는다면, 약물 용량 조정이나 다른 약물 추가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4. 스트레스는 고혈압의 위험 요인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스트레스만으로 이 정도의 고혈압이 유발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5. 가족력, 비만, 스트레스, 흡연, 음주, 운동 부족, 나트륨 과다 섭취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파악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주치의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