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연장 수당 1.5배는 모든 사업자가 지켜야하나요?
8시간 이상 근무를 하거나 정해진 시간 외 추가근무
를 하면 연장수당을 챙겨줘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영세 사업장 또는 상황이 여의치 않은
사업장은 연장수당을 주는게 몹시 부담될것같은데
연장수당은 모든 사업장에 동일한 규정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상욱노무사입니다.
연장근무에 대한 가산임금 지급의무는 상시근로자 5인이상 사업장에만 적용됩니다. 따라서 5인 미만 영세사업장은 연장근무에 대한 가산임금을 적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56조(연장·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개정 2018. 3. 20.>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18. 3. 20.>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
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18.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