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우리나라에서 왜 피자업계가 불황이 되었나요?

치킨의 경우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배달을 시켜서 황금 치킨 비용 논란이 있었고 햄버거는 프랜차이즈가 다양화 되고 있는데 왜 피자는 계속 업계자체 불황이 된건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자 업계가 힘든 건 단순히 가격 문제만은 아닙니다. 예전엔 주말 가족 외식하면 피자가 흔했는데 요즘은 치킨이나 햄버거에 밀려 선택지가 바뀌었습니다. 치킨은 2만 원대에 푸짐하게 먹을 수 있고 햄버거는 신메뉴 경쟁이 치열해서 소비자 관심을 계속 끌어가죠. 반면 피자는 한 판 가격이 높고 1회용 포장이나 배달비까지 더해지니 가성비가 떨어진다는 인식이 큽니다. 배달앱 수수료 부담까지 겹쳐 프랜차이즈 점주들도 가격을 내리기 어렵고 결국 수요가 줄어드는 악순환이 이어진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달비 상승,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었고 프랜차이즈 난립과 할인 경쟁이 심화되면서 수익성이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이 가성비 좋은 대체 음식으로 이동한 것도 불황의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의 수요 즉 늘지 않기 때문입니다 초기 피자는 햄버거나 피자보다 비싸서 점심으로 가볍게 먹기도 힘들고 저녁에서도 치맥수요가 높지 피자수요가 높지 않았습니다

    즉 기본적으로 이런 특성으로 수요가 성장하지 않았고 프로모션이 있어야 어쩌다 한번먹는 특식개념이 이었던것입니다

    즉 수요는 성장을 안하고 상대적으로 햄버거와 만족도대비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니 가격인상 저항감이 크다보니 출혈 경쟁으로 공급은 늘고 가격인상이 어려우면서 시장이 작아지겐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피자업계가 불황이 된 이유는 피자가 고급음식 라인 금액을 형성하기 떄문입니다. 피자를 먹으려고 하면 기본 3만원이 넘어가게 됩니다. 이럴때 사람들은 3만원으로 치킨을 시켜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맛이 첨가되거나 신제품은 약 4만원이 되는 것이, 결국 피자헛이 고급음식을 표방하다가 실적이 저조해진 이유와 유사하다고 봅니다. 피자가 2만원 대로 내려온다면 그 선택지도 넓어진다고 생각합니다. 가격대를 2만원 초반으로 만들어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것은 비싼 가격으로 판단됩니다.

    피자는 치킨 등에 비해 치즈와 토핑 등 비싼 원재료 비중이 큽니다.

    자연스럽게 판매가도 올라가며 그에 비해 양도 크지 않아 자주 시켜먹을 수 없는 음식입니다.

    아무래도 낮은 가성비와 다른 대체제 들의 등장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인들의 입맛 성향이 가장 큰 요인이라 판단됩니다. 밀가루 보다는 고기 종류를 더 선호하고 특히, 닭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요리로 전통을 이어 오고 있고 통닭으로 시작된 치킨 사업도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다양한 시즈닝을 개발하여 발전에 발전을 거듭했고 글로벌화에도 성공했습니다.

    반면 피자시장은 한 때 서양에서 건너와 중상층 이상의 주요한 외식 매뉴로 자리 잡았으나 맛과 건강 측면에서 치킨과 경쟁에서 점점 밀리게 되었습니다. 국내 피자 시장 규모 등 현황은 아래와 같고 높은 성장성 보다는 점진적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5년 대한민국 피자 시장의 정확한 규모는 약 2조 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주요 업계 보고서와 프랜차이즈, 전문점의 매출 집계를 종합하여 나온 최신 산업 컨센서스입니다.

    • 약 6,000개의 피자 전문 매장이 운영 중이며, 이 중 70% 이상이 프랜차이즈 형태입니다.

    • 코로나19 이후 배달, 온라인 주문, 밀키트 시장 성장과 MZ세대의 다양한 소비 패턴 변화가 시장 확대에 기여했습니다.

    •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IMARC 등)도 2024년 기준 한국 피자 시장을 약 36억 달러(한화 4조 7,000억 원)에 달한다고 보고하나, 이는 냉동, 프리미엄, 배달앱 등 부가 시장을 포함한 확대 계수로, 실제 피자 전문점 및 프랜차이즈 중심 시장은 약 2조 원이 가장 널리 인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2025년 대한민국 피자 시장 규모는 약 2조 원이며, 이는 신제품, 배달 서비스, 소비 패턴 다변화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피자 업계가 불황을 맞게 된 이유는 일단 기본적인 원인은 침체된 내수 경기가 1차적인 원인이고, 이런 상황에 더해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피자 한 판 주문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냉동피자 등 대체 상품을 찾고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