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매일성장하는3호
매일성장하는3호

유아를 훈육할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유아를 훈육할 때 가장 중요한 원칙은 무엇일까요??

유아 훈육이 애들에게 정서와 발달에 큰영향을 줄거라 보여지는데요..

훈육할때 지켜야할 중요한 원칙이나 기준을 두어야할거같은데 어떤게 있을까요?

육아팁 좀 공유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을 훈육할때 중요한 점은 많다고 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의 경우에는 아무래도 아이들에게 일관성을 가지는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잘못하는 케이스가 다르기도 하고 중복되기도 할겁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같은 상황에서는 같은 결정을 하는 모습을 보여주셔야 되겠습니다. 같은 상황에서 다른 행동을 하게 된다면 아이들의 어떤 행위를 해야하는 헷갈릴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사랑해서 한다는 이미지를 주셔야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때 이유없이 화를 내지마시고 개관적인ㅈ원인에 따라 잘잘못을 가리는게중요합니다 아이 감정에 공감도 해주시는게좋구요

  • 아이를 훈육할 때 원칙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관성과 화내지 않기, 그리고 아이의 마음 공감해주기, 비난하거나 비교하지 않기 등이 있겠습니다.

    훈육을 할 때의 순서라고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

    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훈육할때는 원칙을 세우고, 일관성 있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히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인생에 도움이 되는 애정어린 훈육을 한다는건 혼내고 화를 내고 소리 지르는게 아니라 인생의 선배로서 사랑하는 보호자로서 아이가 올바른 길로 가기 위해서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입장에서 왜 그랬을까에 대해 한번 고민해보시고 아이에게 정말 도움이 되는 이야기들을 해주는 게 훈육이라고 생각합니다. 차갑고 무서운 훈육이 아니라 애정이 담겨있는 따뜻한 훈육이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아를 훈육할때 가장 중요한것은 아이를 비난하지말고 아이의 잘못을 알려주고 또다시 같은 잘못을 하지 않도록 안내해주는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단호해야 합니다.

    오늘은 기분 좋게, 내일은 화를 내고, 그 다음날은 아이를 회유하듯 훈육을 해서는 안됩니다.

    즉, 안되는 것은 안된다 라는 것을 단호함을 내비치고, 화를 내긴 보다는 일정한 목소리 톤을 유지하면서 아이에게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고 왜 그것이 잘못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훈육을 할 때에는 아이를 혼을 내는 것이 아닌 아이가 무엇을 잘못 했는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아이가 잘 못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행동을 고칠수 있어요

    항상 화가 난 상태가 아닌 평정심과 온화한 목소리로 아이에게 말해야 하면 아이가 무엇 때문에 훈육을

    하고 있는 지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훈육 시에는 현재 상황에 맞는 이야기만 해야 하지 지나간 일들을 이야기 하는 것은 자칫 집중력이 떨어 질수

    있기에 조심 하셔야 합니다

    항상 아이의 이야기를 먼저 들어 본다는 생각으로 넘겨 집기 방식으로 아이의 생각을 먼저 읽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 주고 아이의 말에 대해 이해를 하거나 공감 할 수 있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