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05.23

엘리뇨와 라니냐는 각각 무엇인가요?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엘리뇨와 라니냐는 어떤 자연현상인 것인가요?

또한 엘리뇨를 어린이, 아기예수, 크리스마스라고 하던데 자연현상과는 어떤 관련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태평양의 섭씨 수온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기상 현상입니다.

    태평양에는 남쪽과 북쪽으로 두 개의 해류가 존재하는데,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해류가 엘니뇨이고,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해류가 라니냐입니다. 이 두 가지 해류의 섭씨 수온 차이가 크게 벌어지면, 태평양 지역에서 다양한 기상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엘니뇨는 태평양의 수온이 평소보다 높아지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폭염이나 가뭄이 발생하고, 반면 라니냐는 태평양의 수온이 평소보다 낮아지면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폭우나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기상 현상은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후 변화는 지구 전역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엘니뇨와 라니냐는 지구 기후 변화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태평양 적도 부근의 무역풍의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무역풍은 태평양 적도 부근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어오는 바람으로 무역풍이 약해지면 동태평양의 따뜻한 바닷물이 서태평양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동태평양에 머물게 됩니다. 이로 인해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엘니뇨가 발생합니다. 반대로 무역풍이 강해지면 서태평양의 차가운 바닷물이 동태평양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하강하며 라니냐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페루 인근 동태평양 연안의 Nino 3.4 지역의 5개월 연속 3개월 평균 해수 온도가 0.5도 높으면 엘리뇨, 낮으면 0.5도 이상 낮으면 라리냐라고 부릅니다.

    무역풍이 약해지면 표층수의 이동이 느려지면서 동태평양의 수온이 올라가서 엘리뇨 발생합니다.

    엘리뇨 발생시 북미 남미 지역은 강수량이 많아지는 반면 인도와 동남아시아는 가뭄을 겪게 됩니다.

    반대로 무역풍이 강해지면 심층수가 많이 올라오면서 동태평양의 수온이 내려가서 라니뇨 발생 합니다.

    라리뇨 발생시 북미 남미 지녁은 가뭄, 동남아시아는 강수량이 많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엘니뇨는 태평양 동쪽의 열대 해수 온도가 정상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2~7년 주기로 발생하며, 열대 태평양 지역에서 따뜻하고 습한 기후로 변화시킵니다. 라니냐는 태평양 동쪽의 열대 해수 온도가 정상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엘니뇨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주기로 발생하며, 열대 태평양 지역에서 열대 저기압을 형성하여 날씨 패턴을 변화시킵니다.엘니뇨와 라니냐는 태평양의 대기와 해양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전 세계 기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기후 변동, 강우 패턴, 열대 폭풍 등을 영향을 받는 지역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는 대기의 변화로 인해 해양에서는 동태평양에서 수온약층이 깊어지고 해수면온도가 상승해 다시 대기의 변화를 유도한다. 라니냐는 엘니뇨의 반대 현상으로 중동태평양의 해수면온도가 평상시보다 낮아지고 무역풍이 평소보다 강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