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새침한극락조268
새침한극락조268

오른쪽 갈비뼈쪽 통증 질문 합니다 답변부탁드려요 ㅠㅠ

성별
여성
나이대
26

평소에 숨을 들여마쉬고 그럴땐 괜찮은데

오른쪽 가슴밑???????? 갈비뼈쪽 부분이

가만히있을때 .. 따끔따끔 통증이 있고...

살짝 만지면 아파요 ㅠㅠㅠㅠㅠㅠ

왜그런걸까요 ㅠㅠㅠ

아시는분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명규 의사입니다.

      대부분의 갈비뼈 통증은 연골염증으로 무릎의 염좌와 같이 무리하게 운동을 하거나 자세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잠을 잤을 때 발생하여 통증을 느끼는 지점이 있다면 일부 폐쇄성 골절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대상 포진 성 통증의 경우에도 갈비뼈 지점을 따라서 신경이 분포하여 통증을 느낄 수 있으나 이의 경우는 피부에 수포가 잡히는 곳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Chest PA 를 찍어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오른쪽 갈비뼈쪽 부분이 아파서 문의 주셨습니다.

      숨 들이마쉴때는 괜찮은데 가만히 있으면 통증이 있고 만지면 아프다는것일까요.

      우선 장기적으로 생긴 것인지 최근에 갑자기 생긴 것인지 등 확인이 필요하며, 최근에 특별한 일은 없었는지, 해당 하는 부분에 멍은 없는지 등 정확히 상태가 어떤지 신체진찰 소견이 어떤지 등 파악이 필요합니다.

      가능하면 가까운 의원 가셔서 신체진찰 및 영상검사 등 하여 보시는 것이 가장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훙곽 내부의 통증보다는 피부 주변의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가까운 피부과 방문을 권해드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가슴통증에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심장, 폐, 근골격계 등등이 그 원인이죠. 찌르는 듯한 통증이거나 움직일 때마다 아픈 경우 심장이나 폐보다는 근골격계의 일시적인 통증일 가능성이 더 큽니다. 대표적으로 갈비연골염이 흔한 가슴통증의 원인입니다. 조금 지켜보시다가 증상이 너무 심해지거나 내과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가슴 통증이 있을 때는 우선 심장이나 폐의 문제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중요한 장기의 문제는 심각한 질환을 의미할 수 있고, 생명과 직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다고 한다면 그 이후에 식도나 근육의 문제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증상만 보면 눌렀을 때 통증이 있다면 근육통일 가능성이 가장 높기는 합니다. 혹시 피부 발진이 생긴다면 대상 포진일 가능성도 있구요. 증상만으로는 확인이 다소 어려우니 꼭 병원에 가보시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최근 갈비뼈 부근에 외상을 입었거나 갑작스러운 동작이나 무리한 운동, 활동 등으로 인하여 갈비뼈 사이의 신경의 손상이나 염증, 주변 조직의 손상으로 발생할수도 있고 대상포진과 같이 신경절을 침범하면서 증상이 발생 할수도 있습니다. 만약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형외과, 신경외과, 통증의학과에서 진료를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갈비뼈자체의 통증이라기보다는 해당 피부의 초기병변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피로나 면역저하등이 동반되었다면 단순포진등의 바이러스성 피부병변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말씀하시는 증상만으로는 증거가 충분하지 않아 특정한 질병이나 원인을 의심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통증 위치나 양상으로 보았을 때에 늑골연골염일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통증이 있을 때 소염제 등을 복용하며 증상을 조절해보시길 권고드립니다. 만약 혹시 모를 다른 문제의 가능성에 대한 평가를 희망하신다면 흉부외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