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뷰포인플레이터9731
뷰포인플레이터973123.08.31

31일 밤 슈퍼 블루문이 뜬다는데요. 블루문이 뜨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올해 2023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인 슈퍼 블루문이 오늘 밤에 뜬다는 뉴스 기사를 보았습니다. 엄청난 크기로 보이는 달이라는데요. 오늘은 놓치면 14년뒤에 뜨는 슈퍼블루문이라던데 이러한 달은 어떻게 뜨게 되는것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31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슈퍼 블루문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천체 이름이며, "슈퍼문"과 "블루문"의 용어를 조합한 것입니다. 이 용어들은 특정 현상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지만, 천체의 크기와 색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슈퍼문은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궤도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합니다. 이 때 달은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크고 밝게 보일 수 있습니다. 슈퍼문은 원형 궤도와 타원형 궤도 사이에서 발생하는데, 타원형 궤도에서 지구에 가장 가까울 때 슈퍼문 현상이 나타납니다.

    블루문은 한 달 동안 일반적으로 기대되지 않는 추가적인 보름달을 의미합니다. 원래 "Once in a Blue Moon"이라는 표현처럼 드물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블루"라는 이름과 달의 색상 간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으며, 실제로 파랗게 빛나지 않습니다.


  • 블루문은 푸른색의 달이 아니라 1개월 안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경우 두 번째 보름달을 말합니다.

    이것은 양력 한 달과 음력 한 달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음력은 달의 위상(모양) 변화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그믐에서 그믐까지를 한 달로 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은 약 29.5일입니다. 따라서 음력 한 달은 큰 달은 30일 , 작은 달은 29일입니다. 따라서 월초에 보름달이 뜨는 경우 월말에 보름달이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 "슈퍼 블루 문"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특정한 조건이 동시에 충족될 때 발생하는 특별한 현상입니다. "슈퍼 블루 문"은 세 가지 요소인 "슈퍼문", "블루문", 그리고 "총 일식"이 동시에 일어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1. 슈퍼문 (Supermoon): 슈퍼문은 보통보다 크게 보이는 월식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원거리에서 보았을 때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울 때 발생합니다. 이 때 달은 지구에 더 가깝게 다가가기 때문에 크게 보이게 됩니다.

    2. 블루문 (Blue Moon): 블루문은 한 달 내에 두 번의 만월이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보통 한 달은 하나의 만월을 가지지만, 때로는 한 달 내에 두 번의 만월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의 두 번째 만월을 "블루문"이라고 부르며,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파란색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3. 총 일식 (Total Lunar Eclipse): 총 일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이 때에도 달은 붉게 물들어 "혈월" 또는 "붉은 달"로 불리기도 합니다.

    "슈퍼 블루 문"은 이러한 세 가지 요소가 동시에 결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런 조건이 모두 충족되는 경우, 한 번에 여러 가지 특별한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이러한 조건은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슈퍼 블루 문"이 실제로 눈에 보이는 것은 매우 희귀한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올해 중 가장 큰 보름달, '슈퍼 블루문'이 오늘 밤 하늘에 뜬다. 이번 기회를 놓치면 14년 뒤에나 볼 수 있게 된다.


    31일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울 때 뜨는 보름달, '슈퍼문'을 오늘 저녁 볼 수 있다. 지구와 달과의 간격이 가장 가까이 좁혀지는 시간은 이날 오전 12시51분. 이 시간 달과 지구와의 거리는 약 35만7200㎞로, 지구-달 평균 거리인 38만4400㎞보다 약 2만7000㎞ 가깝다.


    육안 상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슈퍼문을 볼 수 있는 시각은 보름달이 막 뜨기 시작하는 오후 7시 29분(서울 기준)이다. 다음 날 오전 7시 1분에 진다. 달이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 뜨는 보름달에 비해 14% 크고 30% 가량 더 밝다.


    이번 보름달을 '슈퍼 블루문'으로 부르는데, 한달에 2번 뜨는 큰 보름달을 의미한다.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뜨는 슈퍼 블루문 현상은 드물다. 슈퍼블루문이 가장 최근에 뜬 날은 지난 2018년 1월31일이었다. 다음 슈퍼블루문이 뜨는 날은 2037년 1월31일로, 오늘 밤을 놓치면 14년을 기다려야 한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한 달은 29.5일이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은 30일 또는 31일로 이루어진 월을 사용하기 때문에, 한 달에는 보통 한 번의 만월이 있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한 달에 두 번의 만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달이 한 달의 시작과 끝에 걸쳐서 만월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윤달이 있는 해에 발생하며, 윤달은 그레고리력에서 2월에 하루를 추가하여 해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