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쾌활한콜리252
쾌활한콜리25223.09.22

우리나라는 추석을 언제부터 추석명절은 하였나요

우리나라는 추석을 언제부터 추석명절은 하였나요

추석명절 역사나 유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명칭이 추석이 맞는지 한가위가 맞는지 아니며 둘다 사용해도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영리한느시128입니다.

    추석을 명절로 삼은 것은 이미 삼국시대 초기이었으니,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도읍 안의 부녀자를 두 패로 나누어 왕녀가 각기 거느리고 7월 15일부터 8월 한가위 날까지 한 달 동안 두레 삼 삼기를 하였습니다.

    마지막 날에 심사를 해서 진 편이 이긴 편에게 한턱을 내고 「회소곡(會蘇曲)」을 부르며 놀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보성불주먹입니다.

    우리나라 추석은 고조선 때부터 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원래는 달을 기리는 의미인 '달 밝은 밤'이라 불렀고, 나중에 농사의 경우 계획과 마무리 역할을 하는 달에 참나무를 세우고 의식을 지내는 것이었습니다. 오래 전 조선 시대에는 '중추절'이라고 불렸습니다. 추석은 한자로는 가을로 세운 달이라는 뜻입니다.

    추석은 달 밝은 날, 한가위, 벌초날 등으로도 불리지만 원래 추석이라는 명칭이 가장 정석적인 명칭이며, 대표적인 한국의 명절에 속합니다. 한가위라는 단어는 중세시대에 비롯되었으며 9월 15일에 초하루를 맞아 일하기 가장 한가한 날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석, 한가위 둘 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추석은 한글로는 가을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가을에 추수한 농작물을 가지고 조상을 기리는 의미도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가족들이 모여 고향에 가서 한 해 동안의 풍성함을 나누는 명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