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귀여운팬더곰238
귀여운팬더곰23823.09.28

우리나라의 추석 연휴는 언제부터 생긴 것인가요.

우리나라의 추석이라는 것은 언제부터 생겼고 언제부터 이런 추석이라는 날짜에 쉬는 문화가 생기게 된 것인가요?

과거 조선시대나 고려시대도 추석이라는 문화가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8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추석이 연휴가 된 것은 1986년부터 입니다.

    추석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신라의 제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벌인 적마경기에서 비롯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1985년까지는 추석 당일만 휴무, 1986~1988년에는 추석 당일부터 다음날까지 2일 연휴였습니다.

    1989년부터 현재와 같은 방식의 연휴가 적용되었고,

    2014년부터 개천절이나 일요일 등의 공휴일과 겹칠 경우 이 다음으로 오는 첫 평일까지 공휴일이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원으로 올라가면 신라시대(57 B.C.-A.D. 935)부터 내려오고 있습니다. 추석은 신라 유리왕 때 길쌈시합후 놀았던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한해의 풍성한 농사를 기원하고 가족이나 친지간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면서 온민족이 대이동을 하면서 그리웠던 친척이나 가족들을 만나고 헤어지는 하나의 연례행사처럼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휴일로 처음 지정된 것은 1949년 추석 당일만 휴일이었다가 1986년 추석 다음날이 공휴일에 포함, 1989년부터 추석전날까지 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추석은 신라 제 3대 왕 유리 이사금 때 서라벌 도성안의 부녀자들을 두 파로 나누고 두 명의 공주로 하여금 각 파를 이끌게 해 백중 다음날부터 한달 동안 삼을 삼아 음력 8월 15일, 추석 당일 가윗날 한달간의 성적을 심사해 진 편이 이긴 편에 한턱 내고 모두 노래와 춤을 즐기며 놀도록 한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기록에 첫 추석에 관한 기원이 나옵니다. 우선 < 삼국 유사> 에 신라 시대의 추석에 관해서 설명이 나오는데 신라 시대 두 공주가 여인들을 두 패로 나누어 길쌈이라는 놀이를 하였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것으로 보아 추석은 삼국 시대부터 기원 되었다고 보여 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추석은 고려시대에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에는 '추석'이라는 명칭이 더 일반적이었 으며, 이 명칭은 추수'와 석'이 합쳐진 것입니다. 추수는 '곡식을 거두는 일'을, 석은 '경배하다'라 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추석은 원래 곡식을 거두고 그 덕 을 경배하는 명절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추석이 법정공휴일로 제정된 건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듬해인 1949년이다.

    이후 1986년에는 추석 다음날, 1989년에는 추석 전날이 휴일로 지정되면서 지금과 같은

    ‘3일 연휴’ 체제가 완성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