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우리나라의 수출이 중국이 1위에서 이제 다시 미국이 1위로 되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수출이 중국이 1위에서 이제 다시 미국이 1위로 되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하고, 수출 내용이 건전한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중국과의 관계 악화 등으로 인하여

    중국에 대한 수출이 줄어들음으로써

    이에 따라서 미국에 대한 수출이 늘었다고 보시면 되며

    반도체지원법 등에 따라서 미국과의 관계로 인하여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이 ‘제조 2025 전략’(2025년까지 핵심부품·재료 국산화율 70% 달성. 2015년 공표)을 본격 추진한 뒤부터 한·중 양국 간 수출 동조화 현상도 크게 약화되고 미중 무역전쟁도 영향을 줬습니다. 무역적자가 심해지는 원인이므로 좋은현상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미중 무역 전쟁에 따른 중국향 수출 부진이고 10년 전만해도 중국 내 인기가 컸던 화장품, IT&모바일 제품 및 케이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감했습니다.

    이런 추세는 미중 무역 전쟁이 지속 되는 한 더욱 심화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중국의 리오프닝에 따른 기대감에 비해서 중국경제의 회복이 느리다는 것봐 미중무역 갈등으로 인해서 중국과의 경제교역에 제제를 받으면서 미국에 대한 수출입 의존도가 더 높아지게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수출내용이 건전하다는 의미는 아마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았냐라는 의미겠지요? 그간 중국으로 너무 치우쳐있던 부분이 다변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다만 그 과정에서 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큰 시장을 어느정도 포기해야 하는 부분인데, 정치적이 아니더라도 중국 시장에 대한 의존도 감소는 필요한 상태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 총수출에서 중국시장 비중은 2022년 22.8%, 미국시장 수출 비중은 2018년 12.0%에서 해마다 증가해 2022년 16.1%에 이른다고 합니다. 올해 들어서는 이 격차가 더욱 좁혀져, 우리나라의 1~5월 누적 수출액(2534억달러) 중에 중국시장 수출액(497억달러) 비중은 19.6%, 미국시장 수출액(455억달러)은 18%에 달했고 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그리고 무선 통신 제품이 거의 50% 이상을 차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