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3.06

먹구름은 습기가 많아서 검은색인가요? 아니면 구름이 두꺼워서 검은색인가요?

궁금한 점은 제목과 똑같습니다.

하늘에 있는 구름 중에 검은 먹구름이 검은 이유에 대해 궁금합니다.

먹구름처럼 구름의 색이 검게되는 이유가

첫째, 구름의 두께가 두꺼워서 그렇다.

둘째, 구름에 습기가 많아서 그렇다.

어느 쪽이 정답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2.03.06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구름을 이루는 물방울과 얼음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곧 비가 내릴 먹구름이 검은 이유는 물방울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지게 됩니다.

    반사하는 빛의 양이 적으니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연곤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릴정도로 구름이 두꺼워 지면 구름을 통과하는 빛의 양이 적어져 검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첫째, 구름의 두께가 두꺼워서 그렇다. 입니다.


  • 안녕하세요.

    두번째가 정답입니다.

    구름은 작은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작은 물방울은 빛을 굴절시키고 반사시켜 투명하거나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구름의 물방울이 점점 커지게 되면, 큰 물방울은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물방울이 크기 때문에 더 이상 떠 있지 못하고 떨어져 비가 내리게 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구름이 검다라는것은 태양의 빛이 어느정도 통과할수있느냐에 따라서 결정됩니다.

    먹구름은 일반 구름보다 세로축으로 층이 두껍게 쌓여있습니다.

    따라서 태양의 빛이 투과하기 위한 거리가 일반구름에비해 먹구름이 더 깁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방울이 커지면 빛을 반사하는 양보다 흡수하는 양이 더 커집니다. 빛을 반사되면 다이아몬드처럼 반짝반짝하고 검은색처럼 빛을 흡수하면 어두워집니다. 물방울 입자가 커지면 빛을 많이 흡수하여 우리 눈에는 어두운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먹구름이 생기는 현상을 알기 위해서는 물방울이 모인 구름의 생성원리를 먼저 아셔야 하는데요. 물방울들이 모인 구름은 마치 솜사탕 같이 폭신할 것만 같은 느낌인데 비구름으로 돌변하는 순간 상당히 무서워지죠.

    이런 큰 구름이 생기기 위해서는 대량의 물의 증발현상이 있어야 합니다. 강이나 호수, 바다에서 만들어진 물은 태양의 강한 열 에너지에 의해 증발되는데요. 물이 증발하고 공기 중으로 상승되면 물의 부피가 상승하게 됩니다. 상층부에 올라간 수증기는 응결되어 구름이 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다 구름이 크기가 점점 커지게 되고 환경에 따라 여러 형태의 모양을 가지게 됩니다

    http://www.finelfc.com/252 에서 인용했어요

    미세한 공기 분자는 파장이 긴 붉은 색 파장보다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푸른색 파장을 산란시키기 쉽기 때문에 우리의 눈에는 하늘이 푸른빛으로 보입니다.

    구름은 각각 다른 크기의 물방울이 모여 산란되기 때문에 반드시 하얗게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얇은 구름의 경우에는 모든 파장의 빛이 반사되어 흰색으로 보이고 물방울의 밀도가 높아져 비가 내릴 정도의 구름이 두꺼워지면 통과되는 빛이 적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구름 아랫면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줄게 되어 어둡게 보이게 되는데요. 이 때의 구름이 바로 먹구름입니다.

    구름 물방울의 크기가 점점 더 커지게 되면 비가 내리가 되는 것이죠.

    이렇게 설명드리면 많은 분들이 두꺼운 뭉게 구름은 왜 하얗게 보이나요? 하고 궁금해 하실텐데요. 뭉게 구름은 구름 밑부분이 편평하고 맑은 날 지면에 열이 공기를 상승시키면서 만들어지는 구름입니다. 구름은 두껍지만 거의 작은 물방울로 연직으로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구름 속을 지나온 빛을 통해 보는 것이 아니라 구름 편평한 표면에서 산란된 부분을 우리 눈으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대부분 하얗게 보이는데요. 태양의 위치에 따라 까맣게 보일 수도 있고 하얗게 보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강풍때문에 구름 한 점 없이, 미세먼지 없이 파란 하늘이 보이는데 미세먼지없이 파란 하늘의 흰구름을 볼 수 있는 날이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음번에 이어질 화통이의 과학이야기도 기대해주세요^^

    출처: https://www.finelfc.com/480 [롯데정밀화학 공식 블로그_it's Fine]


  • 먹구름이 검게 보이는 이유는 구름의 두께가 두꺼우면서도 습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두 가지 요인 모두가 검은 먹구름의 색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