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진단서에 진구성이라 적혀있는데요
상해통원비 청구하니까 진료비상세내역서에
골절코드가 보인다고
골절진단서 끊어 넣으라고 하네요
병원에 갔더니
진구성이라면서 언제 골절된 건지 잘 모를때
쓰는 용어라 합니다
가만히 생각해 보니
5~6개월전 따닥 소리가 날 정도로 허리를 심하게
다쳤지만 바빠서 병원도 못가고 약국에서 약만 사 먹었는데 이 때 골절된게 아닌가 합니다
진단서에 진구성이라고 되어 있어도
골절진단금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골절진단비 보상을 받으려면 우연하게 갑자기 일어난사고여야 합니다 지금처럼 언제 어떻게 일어난지 모르는 진구성 골절은 보상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진구성 진단서로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과거 부상 증빙 자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 상세히 상담하시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골절 진단비가 보상이 되려면 상해가 입증이 되어야 하며 상해는 급격하고 우연한 외래의 사고를 말합니다.
따라서 언제 골절이 발생했는지 모르는 진구성 골절에 대해서는 문제를 삼을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 따라 보험 가입을 한 기간이 길고 s 코드 진단서가 들어오는 경우 보상이 될 수도 있지만 사고 내용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보상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도 있기에 그러한 경우 병원에 내원을 한 자료가 없기에 5~6개월 전에 다쳐서 약을 사먹은 점을 주장해 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진호 손해사정사입니다.
진구성 골절이라도 사고기록등이 확인이 가능하다면 진단금 수령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사고등에 대한 진술내용이 있는 서류와 함께 청구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충신 손해사정사입니다.
골절진단금은 상해를 입고 그 직접적인 결과로 골절분류표에 정한 골절을 보상하는데요.
상해는 외래성, 급격성, 우연성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진구성 골절은 위 3가지 조건을 충족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해당 진구성골절으로서는 보험사에서 지급 거절을 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사항에서는 해당 사항이 보험기간 중에 발생했다는 것을 입증하실 수 있는
진료기록부 등을 첨부하셔야 합니다. 만약 불가한 경우에는 BONE-SCAN(핵의학검사)를 통해서
신생골절 진단을 받으시면 보상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골절 진단비 청구를 하기 위해서는
상해사고 + 상해코드가 필요합니다.
발급 받은 서류에 위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부합하면 지급입니다.
아니라면 지급이 힘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진구성 골절은 상해사고로 인한 급성 골절이 아닌 오래전부터 진행된 또는 과거에 생긴 골절을 말하는 것으로 상해내용이 명확하지 않다면 보험사에서 보상거절이 될 수 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