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보랏빛메뚜기110
보랏빛메뚜기11023.06.12

아이가 열이 나는데 그냥 열만 났다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나요?

34개월 아기이고

저녁에 갑자기 38,7도 찍고 해열제 먹이니 땀뻘뻘 흘리고 36.1도로 돌아왔어요


감기 아니고 그냥 열만 났다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의 열은 온도가 들쓱날쓱 할수있으니 그때마다 대처를 잘해줘야 됩니다.

    감기뿐만아니라 다양한요인으로 열이 올라가는 경우가 많아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2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열이 나는 원인으로는 목이 붓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때 열이 납니다. 열이 한 번 나면 몇일 동안 지속될 수 있으니 병원에 방문해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육아시 가장 힘든 부분이 아기가 밤에 불덩이처럼 고열이 나서 응급실을 가는 경우입니다.

    감기가 아니고 열만 났다가 가라 앉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감기에 걸리지 않아도 열이 났다가 저절로 떨어지기도 하고, 해열제 투여 후 열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지만, 떨어지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떤 바이러스가 들어와서 열이 올라갈수도 있으며

    아이역시 자가 면역이 있기에

    해열제를 먹고 좋아질수도 있는것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열이 났고, 해열제를 먹였다면 열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단순 열감기로 인해서 열만 났다가 열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라는 말이죠.

    아이가 열이 떨어졌고, 컨디션을 회복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그냥 단순히 열만 났다가 사라지는 경우도 많아요. 엄마가 1차적으로 아이가 잘 놀고 잘 먹는지, 잘 자는지, 보채거나 늘어지는지 등

    아이의 컨디션, 탈수 여부, 아이의 동반 증상 등을 체크해 주시는게 좋아요.

    그리고 아기는 열이 1도 오를 때마다 수분이 10% 더 필요해요. 또한 체표면적이 체액량에 비해 넓어 열이 나면 탈수가 쉽게 오구요.

    먹는 양이 줄게 되면 탈수가 더 쉽게 오는데 탈수가 되면 탈수열이 생깁니다. 탈수가 교정되지 않으면

    수액 치료밖에 방법이 없기에 아기가 열이 났다면 탈수 예방을 위해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주시는게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열이 나다가 해열제 투여를 해서 열이 내려가는 경우는 흔하답니다.

    열이 내려가지 않으면 문제가 되는 거지요

    감기에 걸리지 않아도 아이의 컨디션이 안 좋거나, 몸에 염증이 있으면 열이 올라가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