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전기전자 지식 자급
전기전자 지식 자급

곶감에 표면에 뭍어있는(?) 하얀포자들에 관하여

곶감을 보면 어떤 곶감은 곶감의 고유의 색이 있는 반면에, 또 다른 곶감은

하얀포자들이 해당 곶감을 애워싸고 있는 곶감이 있습니다.

하얀포자는 왜 생성되어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곶감 표면에 생기는 흰 가루는 과당이라고 합니다

      포도당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먹어도 무해한 성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곶감의 하얀 가루는 당분입니다. 정확하게는 과당입니다.

      껍질을 벗기고 말리기 때문에 감 속의 수분이 증발하며 마른 과당이 표변에 하얀 가루로 보이는 것이죠.

    • 곶감 위의 하얀 가루는 당분의 종류 중 하나인 과당입니다.

      과당은 포도당과 함께 과일에 있거나 포도당과 결합하는 당분입니다.

      떫은 감의 껍질을 벗기면 과육에 포함된 당분이 과실 바깥쪽으로 나오게 되고,

      이것이 건조되고 농축되면 하얀 포자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