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강한홍학32
강한홍학32

4대보험 미가입 근로자 퇴직금 요구하니 4대보험소급 가입해서 계산해서준다는데

찾아보니까 퇴직금 적게주려고 흔히 하는 수법이라는데 진짜소급가입했는지 여부는 어떻게 알수있을까요? 그리고 소급가입되면 이미 신고한3.3프로 세금계산은 다시어떻게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인도 노무사입니다.

    귀 질의의 사실관계만으로는 명확히 판단이 어려우나, 근로자부담분 세금은 근로자에게 부담시킬 수 있습니다. 3.3% 공제한 세금은 돌려받아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원자영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 가입 여부는 근로복지공단,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공단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3.3프로 세금과 상계처리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수진 노무사입니다.


    4대보험 가입기간, 보험료 납부 내역 등은 각 공단(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토탈서비스)의 홈페이지를 통해 조회 가능합니다.

    3.3%는 사업소득세이므로, 4대보험에 소급가입하는 경우 세금 또한 근로소득세로 정정하여 신고가 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 경우, 기존에 납부한 세액과 근로자가 납부해야하는 근로소득세를 비교하여 세금이 환급되거나, 추가 납부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금에 대한 부분은 세무 카테고리의 세무사님들께 질의하시면, 보다 정확한 답변을 받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동현 노무사입니다.

    1. 인터넷 고용산재토탈서비스에 로그인하여 4대보험 가입내역을 조회해보거나 근로복지공단 콜센터에 연락하여

      소급가입이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기본 3.3% 세금은 환급이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세무카테고리에 문의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3.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