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1

산에 올라가면 귀가 멍해지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산에 올라가는 것을 취미로 하고 있는데 높은 산에 올라갔을 때 귀가 멍멍해지는 기분이 들었어요.

높은 산에 올라가면 귀가 멍해지는 이유가 기압이 낮아져서 그런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기는 지상에서 1기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곳으로 올라갈수록 지구중력의 영향을 덜 받게되어 공기가 적어지고,

    공기가 누르는 힘이 약해져 기압도 낮아 집니다.

    지상에서 귀의 고막은 사람몸 속의 기압과 대기의 기압이 같아 평형을 이루고 있는데

    높은곳으로 올라가면 대기의 기압이 낮아져 몸에 있는 장기나 기타 기관들이 몸밖으로 나가려고

    합니다. 안과 밖이 평행을 이루려고 하는 자연 현상 입니다.

    고막또한 몸 바깥쪽으로 팽창하듯이 움직이게되어 볼록거울처럼 됩니다.

    이런이유로 높은곳에 올라가면 귀가 먹먹해 지는 것입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22.12.02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산으로 올라살수록 산소가 부족해지고 압력이 변화하게 됩니다. 귀는 압력에 민감하기 때문에 먹먹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지표면의 대기압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우리 평형기관 등이 적응을 하지 못해서 멍한 느낌이 드는 거랍니다.


  • 산의 기압에 의해 고막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평상시 평평한 고막이 기압이 강한 쪽으로 밀려서 멍해지기 때문입니다.

    귀 내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은 귀에 들어오는 기압을 조절해줍니다.

    그런데 귀가 멍해진다는 것은 유스타키오관이 기압을 유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때 입으로 소리를 내거나 침을 삼키면 다시 압력이 조절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