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1

안경 이후, 렌즈가 대중화된 때는 언제라고 할 수 있나요?

안경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렌즈가 나온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렌즈 또한 관리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더라고요.

우리가 사용하는 렌즈가 대중화된 때는 언제라고 할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얌전한등에146
    얌전한등에14623.04.01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콘택트 렌즈는 1800년대 후반에 처음 개발되었지만, 20세기 중반까지 대중화되지 않았습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기술과 소재의 발달로 콘택트렌즈가 보다 편안하고 착용하기 편리해졌으며 시력 교정 옵션으로 인기를 얻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508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물이 물체의 형상을 왜곡하는 것을 보고 물이 빛을 굴절하는 현상에 대해 정리하였고, 이후 데카르트와 토마스영, 허셜이 개념을 구체화하였습니다.

    1888년 스위스의 의사 피크에 의해 최초로 콘텍트렌즈가 출시되었고 19030년 플라스틱 재질의 콘텍트렌즈가 제작되었으며 1970년대 현대에 쓰이는 소프트 렌즈와 비슷한 하이드로겔 재질의 콘텍트 렌즈가 상용화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렌즈는 안경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처음 등장한 것은 20세기 초반입니다. 그러나 당시의 렌즈는 현재와는 달리 플라스틱 소재가 아닌 유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무게가 매우 무거웠고 부담스러웠습니다. 또한 처음에는 개인적인 취향에 맞는 렌즈를 만들기가 어려워서 불편한 면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플라스틱 렌즈의 등장과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렌즈의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1960년대부터 렌즈 제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렌즈 종류가 개발되었고, 1990년대 이후로는 컴퓨터와 모바일 기기 등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시력 문제 증가로 인해 더욱 더 많은 사람들이 렌즈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안경을 대체하는 대안으로서 렌즈가 굉장히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42년 T.Obrig 가 플라스틱(PMMA)로

    된 공막 콘택트렌즈를 개발하였고 1947년에 K.Touhy 에 의해 현재의 콘택트렌즈의

    원조라고 볼 수 있는 각막 콘택트렌즈가

    만들어졌다.


    1960년 Wichterle 에 의해 콘택트렌즈용

    친수성폴리머가 개발되면서 렌즈 착용감을

    혁신적으로 개선하였으며, 1970년대 들어

    바슈룸(Bausch and Lomb)이 미FDA에서

    최초로 친수성렌즈를 승인받은 이후 많은

    업체에서 다양한 재료와 함수율, 산소투과도를 갖는 렌즈가 연구되면서 콘택트렌즈가

    대중화되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안경이후 렌즈가 대중화된 시기는 20세기 초반으로 추정됩니다. 1907년에는 국제 광학 연합회에서 렌즈 기술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정보 교류를 위한 기구로 국제 광학 연구소 (International Research Council on Spectacles)가 설립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유리 렌즈와 함께 컨택트 렌즈도 개발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당시의 컨택트 렌즈는 유연성이 없어 불편하고 안정성이 떨어졌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20세기 중반까지는 안경이 대중적인 시각 보조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에 컨택트 렌즈의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렌즈가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1970년대 이후 컨택트 렌즈의 유연성이 향상되면서 안경 대신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에는 안경과 렌즈 모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으며, 안경과 렌즈의 선택은 개인의 취향과 용도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