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민간신앙을 소재로 한 작품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문학은 현실을 반영한다고 하잖아요~ 특히 소설은 삶의 현실을 다룬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전통신앙을 소설로 다룬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소설이 김동리의 < 무녀도> 와 같은 소설을 들수 있습니다. 이 소설은 무당과 그의 딸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전통적인 샤머니즘과 그에 대한 갈등을 다룬 작품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김동리 작가의 소설 <무녀도>, <역마>, <을화>가 있습니다.
한보영의 소설집 <다듬이소리>, 박해로의 <섭주>가 있고, 윤홍길의 <장마>는 영화로도 제작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이자 토속신앙은 무속신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학작품 중 김동리의 '무녀도'가 무속신앙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무녀도는 무당인 주인공 모화와 그녀의 딸 낭이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이 작품은 전통적인 무속신앙과 새로 전파된 기독교와의 갈등을 그리고 있으며 모화가 신내림을 받고 무당으로서 살아가며 겪는 비극적인 삶을 통해 한국의 토속신앙의 특징과 인간 내면의 갈등을 묘사합니다. 무속신앙과 기독교의 믿음의 차이로 가족이 파국을 겪는 이야기는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신앙과 기독교로 대표되는 외래종교 사이의 갈등을 통해 전통과 근대화로 유입되는 서양문명 사이의 대립을 드러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