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
전세자금 미반환에관하여 질문드립니다
2018년 안산 집에 첫 전세계약을 체결하였고, 전세계약 만료 후 묵시적 계약으로 진행하다가 다시 재계약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재계약 만료 후 묵시적 계약도 만료되어 현재는 계약 의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전세금 반환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계약 전에도 나가겠다는 의사를 표현한 적이 있으며, 올해 초 부터 꾸준히 나가겠다는 의사 표현에도 전세금을 반환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제가 계약 당시 법을 잘 알지 못해 확정일자를 받지 못하여 임차권등기명령을 신청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어떤 법적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를 위한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법률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래 내용은 문의내용에 기초하여 작성된 것으로, 구체적인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세보증금반환청구소송절차 진행을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우 변호사입니다.
질문주신 사항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답변드리오니 문제해결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지급명령신청을 통해 결정을 받아 연 12% 지연이자를 부담하게 하신 후에
해당 지급명령을 가지고 상대방 재산을 압류하여 경매에 붙이는 등 방법으로 환가하여 변제를 받으시는 방법입니다.
최대한 빠르게 진행하시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
이상 답변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