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F24S
F24S24.04.08

현 고1 08년생 고교학점제와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1.고교학점제 준비 학교가 정확히 무슨 학교인가요? 고교학점제를 2025년 전에 미리 운영하는 학교인가요?지금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에 다니고 있는데 08년생도 고교학점제가 적용되나요?


2.담임선생님께서 내년부터는 08년생도 고교학점제가 적용되서 선택과목을 선택하고 만약 수강하고 싶은 과목이 학교 내에 없다면 온라인으로 수업을 듣거나 그 과목이 개설된 다른 학교에 가서 수강해야 한다고 하시던데 08년생 기준으로 고교학점제가 적용되는 학교에 입학했다면 내년부터 고교학점제 적용 전과 비교해서 달라지는 게 있을까요?고교학점제에 대해서 미리 준비하거나 대비해야 할 게 있으면 지금이라도 당장 찾아서 준비,대비하고 싶네요.


3.지금 창원 내에 있는 인문계 남자,남녀 공학 고등학교는 대부분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라던데 제가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에서 다른 학군에 있는 준비 학교로 전학을 가도 수업이나 기타 학교 생활에 지장이 있을까요?(현재 진로는 전기전자,기계 공학과로 확실히 정해진 상태입니다,진로 관련해서 걱정은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인에 있는 08년생 고교학점제 관련 질문에 달린 답변을 보면 대부분 '브라이언샘'이라는 유저가 08년생은 고교학점제와 전혀 상관없다고 하는 답변이 채택이 되어 있던데 참인지 거짓인지 모르겠네요.


https://www.hscredit.kr/hsc/oprtCase.do

참고 사이트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태평한토끼127입니다.

    1.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는 시·도교육청 및 학교의 자율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역별 다양한 운영 모델을 발굴·확산하는 데 목적이 있어 시·도교육청이 학교의 자체 계획을 평가하여 지정·운영하는 학교입니다. 고교학점제는 2020년 마이스터고에 우선 도입된 뒤 2022년에는 특성화고·일반고 등에 학점제 제도를 부분 도입하고, 2025년에는 전체 고교에 전면 시행됩니다. 따라서, 2025년 전에 일부 학교에서 미리 운영되고 있습니다.

    2. 08년생 학생들에 대한 고교학점제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는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가 적용되면 수업량의 기준인 ‘단위’가 ‘학점’으로 전환되고, 고교 3년간 총 이수학점이 기존 204단위에서 192학점으로 변화하며, 총 수업시간이 기존 2890시간에서 2720시간으로 줄어듭니다. 고교학점제를 미리 준비하거나 대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공통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에 대한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각 학교별로 수업시간 별도 지도, 방과후 지도, 보충 과제 부여, 학습 멘토링 운영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도달 학생을 미리 파악하기 위해 학기 초 진단평가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학교 체제 정비 (각종 규정, 위원회, 전담부서 설치 등)

    @학생 선택권 보장 및 내실화 (선택과목 안내, 수강신청, 공동교육과정 등)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강화 (학생 진로 체험, 교사의 진로지도 역량 강화 등)

    3. 창원 내에 있는 인문계 남자,남녀 공학 고등학교가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인지에 대한 정보는 찾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고교학점제 준비 학교에서 다른 학군에 있는 준비 학교로 전학을 가도 수업이나 기타 학교 생활에 지장이 있을지에 대해서는 공통과목인 국어, 수학, 영어에 대한 최소 성취수준을 보장하기 위해 각 학교별로 수업시간 별도 지도, 방과후 지도, 보충 과제 부여, 학습 멘토링 운영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4. 네이버 지식인에 있는 08년생 고교학점제 관련 질문에 달린 답변 중 '브라이언샘’이라는 유저가 08년생은 고교학점제와 전혀 상관없다고 하는 답변이 채택이 되어 있던 것에 대해서는, 해당 답변의 정확성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고교학점제의 적용 여부는 교육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교육부나 학교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