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언가 시작을 하면 끝을 보는 성격?!
이런 성격을 가진 아이들을 키울때 조심해야 할 점이나, 더 보완해주면 좋을 점이 무엇이 있나요? 무언가 하나를 시작하면, 그게 무엇이든 앉아서 끝을 내야 본인이 털고 일어나는 성격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한 번 시작 한 것은 중도 포기 하지 않고 끝까지 마무리는 짓는 태도는 인내심 및 책임감에 좋은 행동 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무언가를 하면서 잘 되지 않는 부분은 혼자서 해결하는 것도 좋지만, 어려운 부분이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은 끙끙대며 혼자서 해결을 하려고 하긴 보다는 엄마.아빠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결 하는 것도 좋은 방법 이라는 것을 알려주면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자녀에 대한 지나친 기대가 많을 수록 아이들이 한가지 일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열정적으로 열심히 하는 건 좋으나 한가지 일만 몰두 하다 보니 다른 것을 놓치는 경우도 많이 있고 몰두해서
성공 한다 하더라도 다른 것을 많이 놓쳐 오히려 손해를 보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뭐든 적당히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너무 지나친 건 부족한 것 보다 못한 경우도 있어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완벽주의가 되려다 보니 아이 스스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결과보다는 과정과 노력에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시며, 다양한 경험을 갖는데 의의를 두게 해주세요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고, 과정에서 배움을 느낄 수 있도록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부모님의 경험담이나 이야기 책을 통해서 간접 경험을 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너무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완벽함에 대한 압박을 느끼지 않도록 유도하고 실패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실패를 두려워하지 안헥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무언가 시작을 하면 끝을 보려고한다면 집착을 하거나 집요할수있습니다 조심해야할점은 집착할경우 계속 물어보고 따질수있으니 이렇게행동을 하면 자연스레 다른쪽으로 관심을 돌리게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런 성격의 아이는 성취감이 중요하지만, 지나친 집착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목표를 유연하게 설정하고 실패도 배움의 일부로 인식하게 도와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이런 성격은 집중력과 책임감을 키울 수 있지만, 지나친 집착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목표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실패나 중단도 배움의 일부임을 알려주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끝까지 집중력 있게 일을 처리하는 능력은 장점이지만, 때로는 이러한 성향이 지나쳐서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한 가지 일에만 몰두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도록 유도해 주세요. 이를 통해 균형 잡힌 성장을 이룰 수 있습니다. 과도한 몰입으로 인해 체력이 고갈되거나 스트레스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휴식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합니다. 지나치게 몰입하는 경향 있다면 조절 능력을 강화시키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 내에 일을 마무리하는 습관을 들이거나, 계획을 세우고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세요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아이가 건강하고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이런 성격은 상황에 따라서 긍정적인 면이 많이 작용할 수 있지만 당연히
단점도 따릅니다 이런 완벽주의 성향은 본인이 목표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좌절감이 남들보다 더 크게 되는데 이럴 때일수록 실패에 대한 학습과 그걸 받아드리는 마인드컨트롤을
길러주시는 게 중요합니다
성공과 실패에 있어서 균형있게 경험하도록 해주시고 아이가 실패를 하더라도 긍정적인 피드백과 조언을 해주세요
그런 완벽주의 성향들은 남들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기 때문에 아이스스로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도 알려주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선 긍정적 관점에서 아이를 바라본다면 끈기와 집중력이라는 긍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성격이 완벽주의나 스트레스로 이어질 수 있어, 부모로서 몇 가지 주의할 점과 보완해줄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우선, 아이가 모든 일을 끝내야만 한다는 강박감을 가지지 않도록 도와야 합니다. 때로는 유연하게 중단하거나 쉬는 법도 배우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 아이가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마음의 여유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큰 과제나 프로젝트를 할 때 작은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고, 일정 시간마다 잠시 휴식을 취하도록 지도하는 방법이 좋습니다. 또한, 실패나 미완성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가 무언가를 완성하지 못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더라도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노력한 점을 칭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