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세무
직원 급여 인상 시, 4대보험 외에 증가되는 세금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궁금한 부분이 있어 질문을 올리게 되었어요
저희 갑사에서 직원 급여 인상 관련해서 확인 부탁한다고 하는데 급여 인상 요청 금액이 너무 높아 확인 후
답변드리겠다고 했어요.
직원 급여가 인상하게 되면 4대보험이 증가하게되고 소득세와 지방소득세가 증가하게 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알고 있어요.
그 외에 법인세나 연말정산에도 저희 회사 세금에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해요.
또한, 저희가 매월 갑사에 금액을 청구하는데 해당 직원의 인상된 급여만큼 청구하게 되면 4대보험과 소득세 부분은 받아오게 된다고 생각이 들어요.
그러나 이외에 발생되는 세금이 회사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이 되고 헷갈려서 도움을 요청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황호균 세무사입니다.
직원급여를 올리는 경우 회사에 미치는 긍정적인 부분과 증가하는 지출 부분에 대하여 기재해드리니 참고부탁드립니다.
긍정적인 부분
비용 증가로 인하여 납부할 소득세(법인세)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미만으로 지급하였다가, 최저임금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청년고용장려금 등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증가하는 지출부분
급여 증가로 인한 4대보험을 추가납부해주셔야 합니다.
(소득세 및 지방세는 100% 근로자 급여에서 차감되므로 추가납부액은 없습니다.)
직원급여가 증가하는 경우 두루누리 등 사회보험료 지원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직원급여가 증가하는 경우 추후 퇴직금 지불액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