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수출은 좋은데 내수는 안 좋은 이유가 뭘까요?
우리나라가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수출이 잘 되고 있고 이번 달 수출액도 증가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가계 상황은 어렵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무엇이라고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출 회복으로인해 임금 인상이 소비진작으로 이어져야 내수가 활성화되는데요,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체감되는 경기는 안 좋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로는 기준금리가 낮아졌으나 금리가 높아졌을 때 대출을 받았던 국민들은
낮아진 금리의 혜택이 적어 실질적으로 주머니에는 돈이 없어진 상태입니다.
낮아진 금리와 경기 회복이 국민들에게 체감되기까지는 시차가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서민 중산층이 있고 부유층이 있습니다 그래서 경기가 어렵다고 해도 부유층은 지금도 아무 문제 없이 살고 있고요 지금 서민 중산층 이하 소상공인들이 어려운 겁니다
수출을 많이 하는 것 보면은 수출은 서민 중산층 소상공이 하는게 아닙니다 대기업들이 하는 것이지요 그러면 대기업 부류들에 있는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사는 겁니다 지금 보수 정부는 주로 이쪽을 대변합니다
지난 정부는 보통 서민층을 대변하는 좌파 정당이라고 하죠 좌파 정권 그래서 좌파 정권 때는 정책을 해온게 있다면 부자들에게 더 세금을 거두려고 하고 부동산에서는 임대차 3법을 통해서 세입자들을 위한 그런 정책을 펼치죠 그 당시에는 소상공인이나 가계 대출을 초저금리로 해 줬습니다 지금은 반대 정당이 들어온 거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아무래도 고금리의 여파로 인하여 가계에서
소비할 수 있는 자금 여력이 떨어지는 등
이에 따라서 이에 내수가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 위주의 산업 구조입니다. 수출은 기본적으로 전문적인 기술과 거대한 제품위주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아닌 기업 위주의 매출이지요.
내수는 일반 소비자들의 비중이 큰데 현재 대한민국은 가계부채과 부동산 집값상승,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기 침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인의 소비와 자영업자의 몰락은 내수 경기를 더욱 안좋게 하는 원인입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