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착실한홍관조27
착실한홍관조2723.10.25

대한민국의 무역수지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대한민국은 수출을 주로하여 성장하고 있습니다. 요즘 무역이 좋지 않다라는 뉴스를 봤는데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올해 상반기(1~6월) 누적 무역적자가 지난해 말 대비 크게 줄었지만, 전 세계 순위는 208개국 기준 200위까지 내려 앉았다. 지난해 북한을 지나쳐 180계단 내려앉은 데 이어 3계단 추가 하락한 셈이다.

    20일 무역협회가 국제통화기금(IMF)자료를 인용한 국가별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올해 1~6월 무역수지는 누적 264억6700만 달러(약 35조9157억원) 적자로 집계됐다. 이는 IMF가 선정한 주요 208개국 중 200위다.

    아프리카 주요국보다 순위가 낮은 것은 물론 북한(109위)보다도 순위가 낮다. 바로 위에는 방글라데시(184위), 이집트(194위), 오만(195위), 멕시코(199위) 등과, 뒤로는 필리핀(201위), 튀르키예(204위), 인도(206위) 등이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역대급으로 악화됐다. 지난해 말 기준 477억8600만 달러(약 64조9411억원) 적자를 기록하며 208개국 중 198위까지 밀려났다. 전년 18위에서 180계단 밀려난 셈이다.

    올해엔 이보다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됐지만, 전세계적으로 무역수지가 더욱 개선되면서 상대적으로 세계 순위는 오히려 밀려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대비 순위는 세 계단 추락하면서 200위까지 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하반기에 들어서면서 월별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4개월 째 무역수지는 4개월 째 흑자를 이어가고 있다. 물론 수입이 더 큰 폭 감소해 만들어진 '불황형 흑자'란 지적도 있지만, 지난달에는 2년 내 가장 큰 규모의 흑자란 점에서 점차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출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546억6000만 달러(약 74조643억원)를 기록했다. 반면 지난달 수입은 16.5% 줄어든 509억6000만 달러(약 69조508억원)를 기록했다. 이에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37억 달러(약 5조135억원) 흑자였다.

    연내 수출 실적도 플러스로 전환한다면 무역수지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출은 지난해 10월부터 12개월째 여전히 감소하고 있지만, 수출 실적은 이전보다 호전된 분위기다. 지난달 수출 감소율이 4%대로 전월(-8.4%)에 이어 한자릿수를 이어갔다는 점에서다. 이는 월별 수출 실적이 감소세로 전환된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다만 겨울철을 앞두고 글로벌 에너지 가격 인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 변수다. 이에 수입이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앞서 수출 증가에도 수입이 더 크게 늘어나면서 무역수지가 악화된 사례가 있는 만큼, 수출이 개선되더라도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 한국무역협회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월별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됐다.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 6월부터 4개월 째 무역수지는 4개월 째 흑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물론 수입이 더 큰 폭 감소해 만들어진 '불황형 흑자'란 지적도 있지만, 지난달에는 2년 내 가장 큰 규모의 흑자란 점에서 점차 개선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출은 전년 대비 4.4% 감소한 546억6000만 달러(약 74조643억원)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지난달 수입은 16.5% 줄어든 509억6000만 달러(약 69조508억원)를 기록했다. 이에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37억 달러(약 5조135억원) 흑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의 무역수지에 대한 자료는 관세청 수출입 통계 또는 무역협회 수출입 통계 자료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리나라의 3개년 무역 수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관세청 보도자료(10월 23일)를 통해 확인해보니 10월 1일~10월 20일 무역수지는 37억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 수출은 338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6퍼센트(%) 증가, 수입은 376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0.6% 증가했으며,무역수지는 37억 달러 적자를 기록

    과거 10년치 데이터를 확인해보니 작년 및 올해는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1. 무역수지란?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서 생기는 국제수지로서,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말합니다.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크면 무역수지 흑자라고 하며, 반대로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큰 경우 무역수지 적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70원이라면 30원의 무역수지 흑자가 났다고 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가 수입한 금액이 120원이라면 20원의 무역수지 적자가 났다고 표현합니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경우 본선 인도 가격(FOB), 수입은 운임·보험료 포함 가격(CIF)으로 계산합니다.

    참고로 무역수지는 매월 관세청이 발표하고 있습니다.

    2. 우리나라 무역수지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 올해 5월까지 15개월 연속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다가, 6월을 기점으로 9월까지 4개월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에는 37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올해 연간 무역적자 규모는 242억 65000만 달러로 적자 규모가 매우 큰 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무역수지는 여전히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동향에 대하여는 아래 무역협회의 기사를 참고부탁드립니다. 무역수지는 일시적으로 흑자전환하였으나, 현재는 유가 상승으로 다시 적자로 돌아선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https://meritjourney.tistory.com/18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는 최근 20년간 거의 흑자를 기록하였으나, 작년부터 글로벌적인 물가상승과 달러가치의 상승에 여파로 2022년 2023년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무역협회 k-stat의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는 무역으로 발행하는 국제수지로 일정 기간에 발생한 국가의 대외경제거래를 통해 수취한 외화와 지급한 외화의 차액을 말합니다. 특정연도를 제외하고는 무역수지는 항상 흑자를 기록했는데 2022년부터 큰 무역수지 적자가 났으며 올해도 적자로 마무리 될것으로 보여지는 상황입니다. 무역협회 K-STAT 통계에서 제공하는 올해 1~9월까지의 무역수지는 -19,687,149(천불)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2023년 상반기(1~6월)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누적 264억6700만 달러(약 35조9157억원) 적자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IMF가 선정한 주요 208개국 중 200위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순위는 세 계단 추락하면서 200위까지 떨어진 것으로 분석되며, 무역수지 순위 하락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전 세계적으로 무역수지가 개선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 순위가 밀려난 것으로 지난해 우리나라 무역수지는 역대급으로 악화되면서 208개국 중 198위까지 밀려났으며, 올해엔 이보다 무역수지가 크게 개선됐지만, 전세계적으로 무역수지가 더욱 개선되면서 상대적으로 세계 순위는 오히려 밀려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둘째, 우리나라의 수출이 감소한 반면 수입은 증가하여 2023년 상반기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4% 감소한 반면, 수입은 10.6%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기 침체,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

    2023년

    1월 : -12,609

    2월 : -5,356

    3월 : -4,697

    4월 : -2,754

    5월 : -2,203

    6월 : 1,158

    7월 : 1,805

    8월 : 879

    출처: 한국은행「국제수지동향」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