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셧다운 기사가 많은데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요즘 미국의 셧다운에 관한 기사가 많이 나옵니다 셧다운이 되었는데도 증시는 오히려 오르는 모습이던데 셧다운의 부작용은 어떤것들이 생길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셧다운으로 인해서 정부 기능이 일시적으로 제한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은 투자시장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시사를 하고 있습니다.
이 금리 인하에 대한 소식으로 인해서 일시적으로 주식의 가격이 오른 상황에 있습니다. 하지만 셧다운 상태가 계속 유지가 되고 한다면 이런 금리 인하에 대한 주식 효과는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게 됩니다.
셧다운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이 올라가게 되면 결과적으로 투자 시장의 위축으로 인해서 주식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의 경우 다른 정책결정들이 지연되면서 정부의 모든 결정이 늦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셧다운이 발생하면 정부기관 인력이 무급휴직을 하는데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지연되거나 못하게 되어 경제 전반에 민간 결정도 지연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셧다운은 단기적 혼란을 주지만 오히려 시장은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반등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장기화되면 정부 신뢰도 하락, 경기 둔화,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셧다운 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결국 민주당과 공화당이 예산안에 합의를
이룰 것으로 보여집니다.
물론, 시간이 조금 걸리겠지만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셧다운이 발생하면 달러 가치가 떨어지고 금값이 사상 최고가를 찍으면서 경제적으로 불안감이 커지게 됩니다. 연방 공무원들은 일시 해고될 수도 있고, 특히 계약직 근로자들은 월급을 못 받거나 아예 일자리를 잃을 위험도 있어서 힘들어지며 국립공원 같은 공공 서비스들이 제대로 운영되지 못해 문을 닫거나 훼손되는 일도 생기면서 경제 전반에 큰 타격과 혼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 길어지면 공무원 무급휴직, 공공서비스 중단 등 부작용이 심화될 수 있으며, 다만 증시는 예상된 셧다운으로 단기 충격을 덜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셧다운이 되었고 미국은 현재 공무원들이 무급 휴가인 상황입니다
미국의 예산은 10월을 기준으로 매겨지고 시작되는데 현재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했기
때문에 정부는 돈이 없는 상황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셧다운이 되어도 미국의 주식에는 영향이 없을 만큼 투자자들은 과거의 경험으로
금새 다시 예산안이 통과되고 아무일이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셧다운 기사가 많았지만 이는 최근에 단기 악재도 없이 해결이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큰 걱정없이 자산을 재투자하게 되었죠. 이러한 상황에서 비슷한 셧다운이 발생하더라도 이전의 경험을 토대로 그 하락이 크지 않을것이라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