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는 상처 발생시에 어떻게 해서 치유과정을 거치게 되는지 궁금해여?
개구리와 같은 파충류는 점막 같은 것이 상처 부위를 감싸서 회복된다는 것으로아는데여.
사람이나 다른 육지 동물들이야 계속 물속에 있는 것이 아니기에 상처에 혈소판에 의해 응고되고 상처가 회복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물속에 있는 물고기는 어떻게해서 상처 부위가 응고되느 ㄴ과정을 거쳐서 치유되는지 알고시퍼여?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어류도 혈소판에 해당하는 트롬보사이트가있어서, 상처직후에 피가 물속에서 퍼지기전에 빠르게 혈전을형성하고,
점액층과 비늘아래 진피의 항균물질이 감염을 막으면서 상피세포가 빠르게 증식해서
상처를 덮습니다.
개구리의 점막처러 ㅁ어류는 두꺼운 점액층과 빠른 재 상피화 능력을 통해 수중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상처를 봉함, 회복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물고기도 사람을 포함한 육상 척추동물과 유사한 혈액 응고 및 상처 치유 과정을 거칩니다.
물고기는 포유류의 혈소판에 해당하는 혈소판형 세포를 가지고 있어 혈관이 손상되면 이 혈소판형 세포들이 활성화되어 손상 부위에 모여 초기 마개를 형성합니다.
그리고 복잡한 응고 인자들의 연쇄 반응이 일어나 피브리노겐을 피브린 섬유로 변환시키는데, 이 피브린이 혈소판 마개 위에 얽혀 단단한 혈전을 만들어 물속에서도 상처를 효과적으로 밀봉하고 출혈을 막습니다.
또한 물고기 피부의 점액층은 이 혈전 위에 형성된 상처를 외부 물 환경과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어막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백혈구와 같은 면역 세포들이 상처 부위로 이동하여 손상 조직과 이물질을 제거히고 주변의 상피세포들이 빠르게 이동하고 증식하여 상처 표면을 덮는 과정을 시작해 시간이 지나면서 손상된 진피층과 혈관이 재생되어 새로운 조직으로 대체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물고기는 물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상처 부위가 바로 물과 접촉하게 되고, 육지 동물처럼 두꺼운 피부나 딱딱한 딱지가 생기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물고기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혈소판이 있으며, 상처가 생기면 혈소판이 상처 부위에 모여 혈액 응고를 시작합니다. 다만 육상 동물처럼 건조한 딱지가 두껍게 형성되기보다는 얇고 젤리 같은 막 형태로 응고층이 형성됩니다. 이 막은 물속에서도 쉽게 떨어지지 않고 상처 부위를 보호해 줍니다.
또한 물고기 피부에는 항상 점액층이 존재합니다. 상처가 생기면 점액 분비가 더 증가하여 세균 침투를 막고 상처 표면을 덮어 물리적 보호막을 형성하며 회복에 필요한 세포가 자리 잡도록 도와줍니다. 즉 개구리의 점액 보호 메커니즘과 매우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물고기는 상처가 발생하면 혈액 응고보다는 피부 표면의 점액 분비와 상피 세포의 빠른 이동을 통해 1차적인 방어막을 형성하여 치유합니다. 육상 동물과 달리 물속에서는 건조한 딱지가 생기기 어렵기 때문에 상처 부위를 즉시 점액으로 덮어 병원균 침입을 막고 체액 손실 및 삼투압 불균형을 방지하는 기전이 우선 작동합니다. 물고기 혈액에도 포유류의 혈소판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혈전 세포가 존재하여 내부적인 지혈과 응고 작용을 수행하지만 외부적으로는 주변의 상피 세포가 신속하게 이동하여 손상된 부위를 물리적으로 덮고 이후 조직이 재생되는 과정이 주를 이룹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