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4.03

고대의 순장 풍습을 확인할 수 있는 유적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우리나라에도 고대에는 왕이나 군장이 죽으면 다른 사람도 같은 묻는 순장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의 고대의 순장 풍습을 확인할 수 있는 유적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국가인 부여, 고구려, 가야, 신라에서 순장이 있었다는 문헌 기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삼국지> 위서 동이전 부여 따르면, 부여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여름에는 모두 얼음을 쓰고, 사람을 죽여 순장시키는데 많을 때는 백 명을 헤아렸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가야의 창녕 송현동 고분군과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서 순장의 흔적이 확인되고 있는데, 합천 봉산면 송림리의 반계제 고분군 가A호분의 경우 순장된 자를 묻기 위한 '순장곽'이 공간이 존재했고 그 안에서 말의 이빨이 확인되어 말이 순장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쌍책면 옥전고분군의 묘역 6기의 석곽 가운데 82호분을 제외하면 모두 '순장곽'으로 확인되었으며 M1-3호 석곽에서는 키 170cm 정도의 성인 남자의 머리뼈와 엉덩이뼈, 그리고 이가 수습되었다.

    <삼국사기> 신라 지증왕 3년(502)에 순장을 금지하는 영을 내렸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순장이란 풍습은 풍습이라 하기엔 무서운 제도 입니다. 형벌이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로 신분제 사회에서 유력자가 죽게되면 당시의 노비 등죽은뒤에도 보필하도록 같이 묻는 것인데 청동기시대 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대표적인 순장과 관련된 유적은 가야에 남아있는데 가야에서 발견된 대다수의 고분군을 확인해보면 순장 풍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대가야의 대형고분중 44호분과 45분이 유명하며 현재 보존이 잘되어 있으니 가서 보실 수도 있습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