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를 하면 금값이 상승한다는 논리가 맞나요??
경제뉴스에서 금리인하를 하게 되면 금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내용을 보았는데 금리인하를 하면 무슨 이유로 금값이 상승한다는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자가 없는 제로금리 때에 우리 코로나 시대가 있었지요 그 당시에는 금리가 낮기 때문에 투자처를 찾아서 떠났습니다 그래서 부동산 주식이 폭등을 한 것입니다 금값도 마찬가지겠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현금이나 채권 같은 자산의 수익률이 낮아지면서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으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이때 안전자산의 대표주자인 금이 매력적인 투자처로 부상하며 가격이 상승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는 돈의 기회비용을 의미하는데, 금리가 낮아지면 현금을 보유하는 대신 금을 보유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유리해집니다. 이는 금리가 낮을수록 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금리가 인하되면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을 추구하기 위해 금과 같은 안전자산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화폐 가치가 떨어집니다. 따라서 화폐 대용자산을 구입하려는 수요가 많으며 대표적인 화폐 대용자산인 금 가격이 상승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의 인플레이션의 헷지를 위해서 금을 투자하는 것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와 금값은 반비례 관계를 보입니다.
금리가 인하하면 금값이 올라가고 금리가 상승하면 금값이 내려갑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금융상품의 수익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실물자산인 금에 투자를 활발하게 하여
금값상승을 견인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를 인하하게 된다면
은행에 예치를 함으로써 수익율이 떨어지기에 이에 따라서
금 등으로 자금이 이동될 수 있고 이에
금값이 상승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로 인하여 시장 유동성이 증가한다는 전제하에 금값이 간접적으로 상승할수 있는 요인으로 해석한것 같습니다
또한 시장금리가 인하하면 달러가치가 하락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달러가치와 달려유동성과 연관이 있는 금이 상승하는 논리로 본것같습니다
실제 금은 달러와 밀접한 상관관계수로 달러유동성과 금의가치가 100년역사에서 정의 상관관계이며 서로 대체되는 자산이며 인플레이션 헷지자산이 금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금리인하를 하면 금값이 상승한다는 이론은 맞습니다
그 이유는 금리가 인하 되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즉 같은 물건을 더 많은
화폐를 지불해야 구매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를 금에 적용하면 원래는 100불이였던 금이 화폐가치가 하락하면서 150불을 줘야지만
구할 수 있게 바뀌는 것입니다
즉 금의 액면 가격은 100불에서 150불로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상황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미국 기준으로 금리가 내려가면 달러 강세가 완화됩니다. 달러가 약화되면 상대적으로 실물자산인 금 가격은 올라가게 됩니다
금리 인하를 하게 되면 금값뿐 아니라 다른 투자자산의 가격도 올라가는게 일반적입니다.
금리가 낮기에 이자의 부담이 줄어들어 대출을 통한 투자를 많이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많이 공급되면 부동산, 주식, 코인, 금 등등의 투자 자산으로 돈이 많이 몰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