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청초한매미177
청초한매미17723.03.13

이산화탄소는 고체 상태에서 승화되어 기체가 되는데 액체는 없나요?

이산화탄소를 얼린 것이 드라이아이스로 알고 있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실온에 놔두면 액체가 되지 않고 바로 승화가 되더라고요. 이산화탄소도 액체 상태가 있을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일반적인 기압과 온도에서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액체 상태에서는 매우 불안정하며, 일반적인 대기압과 온도에서는 즉시 기체 상태로 승화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이산화탄소는 고체와 액체 상태를 건너 뛰고 기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매우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 조건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은 일반적으로 고압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데, 이산화탄소를 고압으로 압축한 후, 이를 냉각하여 액화 상태로 만듭니다. 이러한 고압 액화 이산화탄소는 산업적으로 중요한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14

    안녕하세요. 이성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압력을 가하면 쉽게 액체로 만들 수 있습니다. 고압으로 이산화 탄소를 액화시키면 운송에도 편리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이산화탄소도 액체상태가 있습니다. 하지만 상온에서는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없습니다. 이산화탄소는 일반적으로 압력과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만 액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이산화탄소 기체를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로 압축하면 액화되어 액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산업용 공정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일상적인 상황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78.5℃ 이하에서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인 상태에서 액체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액화기라는 특수한 기계를 사용해 액화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의 액체 상태는 물보다 밀도가 높고, -78.5℃ 이하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 유지됩니다. 따라서 드라이아이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에서 압축하여 액화시킨 후, 이를 상온에서 감압시켜 액체에서 고체로 변화시켜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연히 액체상태의 이산화탄소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대기압에서 액체상태의 이산화탄소는 만들 수가 없습니다.

    이산화탄소의 삼중점 즉 고체, 액체, 기체가 서로 열역학적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는 약 5.1기압, 영하 56.6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기압 상태의 대기압에서는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고체에서 바로 기체가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탄소의 삼중점은 -56.6 ℃/5.11 atm 이므로,

    상압에서는 온도를 낮추어도 액체가 되지 않고 바로 고체가 되며,

    고체의 온도가 높아지만 바로 기체로 승화합니다.

    (드라이아이스의 기화)

    이산화탄소가 액체에서 기화되는 현상을 확인하려면 압력을 삼중점 이상으로 높혀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산화탄소는 기압과 온도에 따라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기압이 5.1 기압 이상, 온도가 -56.6도C 이하인 조건에서 액체 상태가 됩니다. 이렇게 되면 액체 이산화탄소는 냉매로서 사용되거나, 화학 반응의 원료나 중간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액체 이산화탄소는 고압에서 안전하지 않으며, 적절한 안전장비를 사용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액체 이산화탄소를 다룰 때는 꼭 전문가의 지도와 안전 규정을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