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신중한잠자리251
신중한잠자리25123.08.13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중 어떤 것이 더 경제에 악영향을 주나요?

우문 일수도 있지만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좋지 않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이 생긴다면 어떤것이 더 경제에 악영향을 주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모두 경제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고 해서 어떠한 것이 좋지 않다고 말하기는 힘들어요

    다만 보통은 인플레이션 상황보다는 디플레이션 상황을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되는데, 인플레이션이 심각한 경우에는 실업률이나 취업률은 양호하지만 사람들의 실질적인 급여 수준이 낮아지게 되어요. 그런데 디플레이션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기업들이 도산하게 되고 실업률이 증가하게 되면서 경제가 무너지는 것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디플레이션 상황을 조금 더 안 좋은 상황이라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여지네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둘 다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음... 어떤 상황이 더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는 맥락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을 의미하며, 디플레이션은 물가 하락을 의미하는데요 둘다 지나치면 악화가 커질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의 경우 경기침체의 확률이 높아 인플레이션보다 경제적 해법이 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보다는 디플레이션이 더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의 미국과 디플레이션 상황의 중국을 비교해보면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의 상대적 심각성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탄탄한 고용 시장과 전기차·인공지능(AI) 기술 혁신에 힘입어 인플레이션 부담을 극복하고 미국 경제는 점차 연착륙 중입니다. 반면,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 불황으로 진입하는 신호가 아닌가 하는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잃어버린 30년으로 대변되는 일본의 심각한 장기 불황, 즉 디플레이션 사례에서 보듯이 인플레이션과 달리 디플레이션 국면은 쉽게 빠져나오기 어렵습니다. 디플레이션 위험 해소를 위해 중국 정부의 고민이 다소 심각한 수준이 아닌가 합니다.

    대략의 답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 아닐까 싶습니다 디풀레니션은 기본적으로 경기 침체시 나타나는 현상이거든용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둘다 경제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지만, 스태그플레이션 등이 더욱 안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더 심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인상으로 잡지만

    디플레이션은 상당히 잡기가 힘들기 때문이죠.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그대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 모두 경제에 좋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그럼에도 이 둘 중에서 하나를 꼭 피해야 한다면 바로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주는 영향이 더 나쁘다는 것이 일반적인 중론입니다.

    디플레이션의 가장 명확한 예로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디플레이션은 국면 전환을 하기가 인플레이션보다 어렵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디플레이션이 더 큰 영향을 줍니다. 일본의 예를 보면 알듯이 디플레이션의 경우 정책적으로 해쳐나오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일본의 장기불황에서 재정확대(무한 양적 완화), 금리인하 유지등의 정책을 하고 있지만 벗어나기 어려운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적으로 더 안좋은 것은 디플레이션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모두 물가 수준의 변동을 나타내는 경제 현상이지만,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에 비해 더 위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가격이 계속해서 내려가기를 기대하게 되어 소비를 미루게 되고, 기업들은 매출이 감소하고 이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 활동이 둔화되고 실직률이 증가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부채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등 경제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수준이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적절한 범위 내에서 일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활동을 부추기고 부채 상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실력을 약화시키고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불안감을 낳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경제적으로 더 안좋은 것은 디플레이션입니다. 하지만 적절한 수준의 인플레이션 유지가 경제 안정과 성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는 점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실경제에서 인플레이션에 의한 고통을 겪는일이 빈번해 인플레이션이 더 악영항을 끼치는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더 안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집니다. 적정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디플레이션은 경기침체나 금융위기 시 나타나는 현상으로 기업의 수익을 감소시키고 실업률을 상승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은 모두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떤 것이 더 악영향을 주는지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