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거래소는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제 증권거래소에서 대체거래소가 생겨서 늦게까지 주식을 거래할수 있다고 하던데요, 어떠한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윤민선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3월 4일 부터 국내 최초의 대체거래소 ( ATS ) 인 ' 넥스트레이드 (NTX) ' 가 출범하여 , 기존 한국거래소 (KRX) 외에도 주식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
운영방식 :
ㆍ 거래 시간 : NTX는 오전 8시부터 밤 8시까지 운영되며 , 이는 기존 KRX의 거래 시간 ( 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 ) 보다 확장된 것입니다.
ㆍ 거래 종목 : 출범 초기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의 10개 종목만 거래 가능하며 , 3월 말까지 약 800개 종목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ㆍ 호가 방식 : 기존 지정가 , 시장가 외에도 중간가호가 , 스톱지정가호가 등이 도입되어 투자자들에게 다양한 주문 방식을 제공합니다.
ㆍ 수수료 : NTX의 거래 수수료는 KRX보다 저렴하여 , 증권사 및 투자자들의 비용 절감이 예상됩니다.
거래 가격 설정
대체거래소 (ATS) 에서의 거래 가격은 기존 한국거래소 (KRX) 에서의 가격과 반드 시 같지는 않습니다.
이는 주문 체결 방식과 유동성 공급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요 차이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가격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 :
ㆍ 주문량과 유동성 차이 : 대체거래소는 초기에는 거래량이 적을 가능성이 높아 가격 변동성이 더 클 수 있습니다.
ㆍ시장 내 경쟁 : 동일한 종목이라도 ATS 와 KRX 간 경쟁이 생기면서 일시적인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ㆍ 중개기관 ( 증권사 ) 역할 : ATS 에서 거래를 제공하는 증권사나 유동성 공급자 ( 마켓메이커 ) 가 다를 수 있어 주문 체결 방식도 일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2) 가격 동조화 ( Arbitrage ) 가능성 :
ㆍ 만약 같은 종목이 KRX와 NTX에서 서로 다른 가격으로 거래되면 , 차익거래 ( Arbitrage ) 를 노리는 투자자들이 이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ㆍ 차익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 결국 두 시장의 가격은 어느 정도 동조화 (수렴) 되는 경향을 보일 것입니다.
3) 실시간 연동 여부 :
ㆍ 현재 NTX는 KRX와 주문 정보를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같은 가격을 유지할 의무는 없습니다.
ㆍ 다만 투자자들의 주문이 많아지고 차익거래가 활발해지면 , 결국 비슷한 가격대로 형성될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적으로 , KRX와 NTX에서 같은 종목이라도 가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 시간이 지나면서 차익거래가 이루어지면 가격이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 초기에는 유동성 부족으로 변동성이 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체거래소는 한국거래소 이외에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새로운 거래소가 생겼다고 보시면 되며
해당 거래소에서 모든 종목을 거래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투자자 입장에서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원래 사용하던 증권앱에서 자연스럽게 매매
하시면 되고 같은 주식을 내가 좀 더 유리한 거래소에서 매매하면서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됩니다
즉 하나의 주식에 2개의 가격이 생긴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3월 4일부터 기존 한국거래소외에 대체 거래소가 출범합니다.
한국거래소와는 별도의 시스템으로 운영이 되며 운영시간도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12시간 거래가 됩니다.
호가 방식이 추가되고 거래 수수료가 저렴한 특징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대체 거래소에서는 주식 거래 등을 오전 여덟 시부터 오후 여덟 시까지 할 수 있게 되고, 코스피 와 코스닥 시장에 상장 된 기업 중 약 800 종목이 거래 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