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을사조약을 왜 을사늑약이라고 부르는 것인가요?
한국사에 대해 학창시절에 배운걸 거의 까먹어서
다시 조금씩 보는중인데
을사조약을 윽사늑약이라고도 부르는거 같은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을사년(1905년)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불평등 조약임을 강조하는 목적으로는 을사늑약으로 합니다.
강제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라는 점에서 통상적인 조약이라고는 볼 수는 없다는 것이 그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을사조약이 아닌 을사늑약이라고 하는 이유는 이 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조약이기 때문입니다. 을사늑약은 군대와 강압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고종은 전 세계에 알리고자 헤이그 만국 회의에도 알리 고자 이준 열사를 파견 하기도 했던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 조약의 명칭은 일본이 보호조약이라는 미명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보호라는 단어를 삭제하고 을사조약 체결과정의 강압성을 비판하는 뜻으로 을사늑약이라고 일컫습니다. 늑약은 억지로 맺은 조약이라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