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스위스는 어떻게 중립국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스위스는 되게 작은 땅떵어리이면서 주요 길목에 위치해 있던데요~ 그런데 그런나라가 어떻게 중립국의 지위를 얻어 영토를 지킬수 있었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위스는 1815년 이래 항상 중립을 유지하려고 대단히 노력해 왔다. 국제연맹에는 조건부로 가입하였고 국제연합에는 영세중립국의 지위와 양립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가입하지 않았다가 2002년 3월 3일 유엔가입에 대한 국민투표결과 유엔가입이 통과됨에 따라 스위스도 2002년 9월 10일 190번째 회원국으로 UN에 가입하였다.

    이에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영세중립국은 2002년 9월 10일부로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즉 스위스도 더이상 영세중립국이 아니며 UN 결의에 따라 행동할 의무가 정해진 것이다. 그러나 스위스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에 은밀히 협력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중립국으로서의 가치가 크게 훼손된 바 있다.

    다만 스위스가 UN 회원국이 아닌 시절에도 UN의 하위 조직 상당수는 제네바에 설치되었다. 이는 중립국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면도 있지만, 과거 국제연맹 본부가 제네바에 설치됐던 영향이 더 크다. 국제연맹 본부 건물은 그대로 UN 유럽 사무국이 됐고, 세계보건기구와 국제노동기구 등 산하 조직들 대다수를 UN이 계승했다.

    2022년 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중립국으로서의 금기를 깨고 서방의 러시아 제재에 동참하고 우크라이나군에 원조를 제공하면서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고 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이로서 스위스는 완전히 중립국이 아니게 되었다’는 의견과 ‘러시아의 침략행위를 중립국으로서 비판했다’는 의견이 양립하고 있으나, 결과적으로 한 쪽의 편을 공개적으로 들어준다는 이례적 선택을 한 건 사실이기 때문에 향후 스위스의 중립국 지위에 대한 재정의 논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스위스는 자국 동쪽의 소국인 리히텐슈타인의 외교권을 행사하고 있어 리히텐슈타인에 한해서만은 중립적이라고 볼 수 없을 뿐더러 오히려 가장 강하게 밀접되어 있다. 그러나 리히텐슈타인의 규모나 영향력이 미미하기도 하고, 스위스가 리히텐슈타인을 통해서 제3국에 영향력을 행사하지도 않기 때문에, 스위스와 리히텐슈타인간의 특수한 관계는 스위스의 중립성을 거론할 때 일반적으로 무시된다.

    출처: 나무위키 중립국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스위스는 왜 중립국인가요? 그럼 러시아나 중국이 패권을 빼앗아도 아무 대응을 안해야 하는 것인가요?

    => 스위스는 여기 저기에 빌붙어 다니면 그 나라가 약해질때 손해를 입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돼었고 알프스 산악지대를 잘 방어하면 중립국이면서 나라를 지킬 수 있다고 판단하여 중립국을 선언한 것입니다.

    내부 군사력을 강하게 해 정예병사들을 만들어 험한 산지를 이용해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 주변의 강한 나라들로부터 방어하면서 중립국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죠.

    그러므로 스위스는 러시아나 중국이 자기들 이권을 뺐는게 아니라면 대응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물론 자위권(스스로를 지킬 권리)는 있어 러시아나 중국이 침략하거나 불리한 걸 제안하면 대항할 권리는 있죠.

    중립국의 장점과 단점

    장점

    1. 동맹국을 위해 군사를 파병하거나 돈을 꿔줄 필요가 없습니다.

    2. 동맹을 맺은 나라가 망하거나 어려울때 영향을 안 받습니다.

    3. 적의 적과도 외교, 무역을 하여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

    단점

    1. 누구와도 진정한 동맹 관계를 맺을 수 없어 외로울 수 있습니다.

    2. 강대국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기 어려워 강대국들이 가진 이점들을 못 얻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누구도 믿지 않기에 군사력을 항상 일정 수준 갖추고 있어야 해 군사 비용이 항상 많이 들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