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엉뚱한검은꼬리224
엉뚱한검은꼬리224

아이들 핸드폰은 몇살쯤부터 사주는게 좋을까요?

요즘 아이들이 핸드폰을 다 기본으로 가지고 다녀서 고민입니다. 미디어 노출이 걱정이라.. 많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아논다고 해도 걱정이네요. 몇살쯤부터 핸드폰을 사주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에게 휴대폰을 사주는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부모님께서 잘 판단하겠지만 휴대폰을 구입해주는 시기는 늦으면 늦을수록 좋다고 합니다.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자기 조절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전자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애플의 창업자 스티브 잡스 또한 아이가 중학생이 됐을 때야 휴대폰을 사줬다는 말이 있더라고요.

    아이들이 휴대폰에 시선이 고정되어 있을 때 집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아이의 뇌는 멈춰 있다고 합니다.

    아이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 휴대폰을 사줘야 한다면 2G폰이나 키즈폰을 사주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아이에게 스마트폰을 사줬는데 약속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면 어플로 관리해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핸드폰은 가능한 늦게 사주는 좋기는 힙니다. 핸드폰을 일찍사주게 되면 핸드폰 사용시간 으로 인해 사소한 다툼이 있을수 있기때문에 어느정도 규칙을 정해서 실천할수 있는 나이가 적당하다고는 봅니다. 요즘은 데부분 초등학교 입학하게 되면 연락을 해야하는 일이 발생할수 있기때문에 초등입학을 하고 나면 사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등 입학을 하고 나서 핸드폰 사용에 대한 시간제한과 규칙등을 약속하고 사주면 될듯 합니다.

  • 아이에게 핸드폰을 몇 살 쯤 구입해 주어야 한다 라는 것은 법적으로 제시된 것은 없기에 선택과 결정의 몫은 부모님께서 직접 하셔야 합니다.

    요즘 현 부모님들이 아이에게 핸드폰을 구입해 주시는 이유가 아이들의 안전상 이유로 핸드폰을 구입해 주십니다.

    그리고 아이에게 핸드폰을 사주기로 결정을 하셨다면 핸드폰사용방법과 핸드폰 적정시간을 정하고 핸드폰 적성시간을 어기면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대처방안을 마련하여 아이가 자신이 한 약속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지도하여 주도록 하세요.

  • 아이들에게 핸드폰을 사주는 시기는 각 가정의 상황과 아이의 성숙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아이의 성숙도와 책임감, 필요성, 사용 제한 및 관리, 미디어 교육 등을 통해 올바른 방법으로 핸드폰을 사용해야 합니다 .많은 전문가들은 초등학교 고학년(10살 ~ 12살) 정도가 핸드폰을 사주는 적절한 시기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휴대폰을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사주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의 위치를 파악하고 소통을 해주는 용도로 써주시면 좋겠습니다.

  • 가능한 늦게 사주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초등 저학년엔 사주지않아야 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연락을 위한것이라면 전화 메시지 카톡 기능있는 폴더폰도 괜찮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초등학교 입학하는 시점에 핸드폰 사주시는게 좋습니다 혹시 모를 상황에서 연락이 되아야하니까요~그리고 부모니이 앵핸드폰 어플설정 및 다운타운제 사용하게끔 설정하세요

  • 많은 학부모들이 미디어 노출을 최소화 시키려고 하는데요.

    세상이 무섭다 보니 초등학교 들어가면 해주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아이와 연락망이 필요하기 때문이죠.

    스마트폰보다는 간단한 기능이 있는 문자, 전화, 톡 등 있는 휴대폰이 있어요.

    정액요금과 수신자부담 차단, 소액결제 차단 등 꼭 해주셔야 해요.

  • 어차피 요즘 아이들은 미디어에 노출이 안되면 살아갈 수 없는게 현실입니다. 영상매개체를 통하여 수업도 하는데 저흰 초등1학년 입학전에 사주고 유치원엔 가져가지 않았어요. 보통 초등1학년 2학년때는 구매해주는 거 같았어요

  • 초등학교 가면서 부터 비상시 통화 목적으로 사줍니다.

    게임과 유튜브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더 중요한 안전을 놓칠 수 없는 부분이라.

    대부분 그때 허용해 주는 거 같아요

    게임과 유튜브는 데이터를 막든지 하루에 1시간정도만 허용해 줍니다.

  • 핸드폰 걱정은 모든 부모님들의 공통점 입니다

    핸드폰의 장점도 있습니다 필요시 바로 연락 할수

    있다는 것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까지는 엄마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아서 필요치 않을것 같구요

    2학년이 되면 학원을 다니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연락이 필요하기에 핸드폰이 필요 합니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수 없드시 핸드폰 무작정

    막아 놓는 방법은 올은 방법은 아닙니다

    적정사용 시간을 아이와 함께 정하는 방법도 있어요

  • 전문가들이 설명하듯이 아이들에게 휴대폰이 주어지는 나이는 15세 근처여야 한다고 합니다 만약 그이전에 주어야한다면 12세 이전어는 절대 주지 않는것이 좋아요 그러나 스마트폰을 사용할때는 적절한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결국 엄마의 판단이 중요 하며 아이의 능력을 향상 하는 도구로 활용할수 있도록 지도해 주세요

  • 보통 우리나라 핸드폰 보급률을 보면 초등학교1학년 2학년때 많을수있으나

    실제적으로 휴대전화가 아이에게 필요로하고 연락이 요한다면 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아이들의 스마트폰은 초등학교 저학년때는 사일상 크게 필요하지 않습니다. 보통 학교에서 아이들과 이야기해보거나 학부모님들과 상담을 하다보면은 초등학교 1,2학년때에는 스마트폰보다는 통화기능 위주의 키즈폰을 사주시는 경우가 많고 3-4학년쯤 넘어가면서 아이들 핸드폰을 사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즘에 반에서 대부분 스마트폰을 갖게되는 학년은 5,6학년이 되었을때 입니다. 통화만되는 폴더폰이라도 가지고 있습니다. 사실상 핸드폰을 안가지고 있는 친구는 거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