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날씬한뻐꾸기90
날씬한뻐꾸기9023.01.18

일본이 엔저를 유지한 이유와 그렇게 할 수 있었던 방법이 궁금합니다

일본이 계속 엔저현상을 유지해 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수출에 유리하기 위해서 인가요? 다른 이유가 또 있나요? 그리고 어떻게 계속 유지할 수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엔저를 유지한 이유는 자국의

    수출을 늘리는 등 자국의 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함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현재까지 금리를 올리지 않고 엔저현상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일본이 보유한 '달러 보유고'에 있으며, 금리를 인상하지 못했던 이유는 일본의 극심한 소비침체로 인해서입니다. 일본은 현재 30년동안 이어진 '소비침체'로 인해서 잃어버린 30년이라는 경기침체 현상을 지속적으로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금리를 인상하게 된다면 일본의 소비침체는 더욱 극심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에 엔저현상으로 인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이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 인상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렇게까지 일본이 엔저현상과 달러 유출에도 불구하고 버틸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의 외환 보유고는 1조 2천억달러 수준이며, 보험이라 불리는 미국 국채 보유량 또한 1조 2천억달러에 달합니다. 일본은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달러보유 국가이며, IMF로부터도 무이자로 달러를 빌려올 수 있는 몇 안되는 국가 중의 하나입니다. 이렇게 달러보유고가 넉넉한 상황이다 보니 달러유출과 엔저현상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 버틸 수 있었던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 나라 통화의 가치는 경제 상황, 금리, 정부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상대적으로 낮은 엔화 가치를 유지해 왔습니다.

    엔화 약세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수출 촉진입니다. 엔화 가치가 낮아지면 외국 바이어들이 일본 제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수출을 늘리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일본이 엔화 약세를 유지한 또 다른 이유는 디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해서입니다. 일본은 수년 동안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물가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엔화 약세는 수입 가격을 상승시켜 디플레이션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일본은행(BOJ)도 엔화 약세를 유지하기 위해 통화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일본은행(BOJ)은 경기 부양을 위해 통화량을 늘리고 금리를 낮추는 통화정책 수단인 양적완화를 시행해왔습니다. 이는 엔화 공급량 증가로 이어져 엔화 약세에 일조했습니다.

    통화의 가치는 수요와 공급의 시장 세력에 의해 결정되며 특정 수준의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통화 약세를 유지하면 수입 비용 증가와 같은 일부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높아지고 시민들이 해외 여행을 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몇 가지 이유로 엔화의 낮은 가치를 유지해왔죠.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수출을 촉진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것입니다. 엔화의 가치가 낮아지면 일본 상품은 외국 바이어들에게 더 저렴해지며, 이는 일본 상품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수출 의존적인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습니다.

    일본이 낮은 엔화 가치를 유지해온 또 다른 이유는 디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한 것입니다. 일본은 몇 년 동안 디플레이션, 즉 상품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격 수준의 지속적인 하락과 씨름해 왔다. 엔화 약세는 수입품을 더 비싸게 만들어 물가를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는 디플레이션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엔화 약세를 달성하기 위해,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은 많은 통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주요 정책 중 하나는 양적 완화로, 일본은행은 통화 공급량을 늘리고 금리를 낮추기 위해 국채를 대량으로 사들였다. 이 정책은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덜 매력적이게 함으로써 엔화를 약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게다가, 일본은행은 엔화를 약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높이기 위해 선물 지침, 마이너스 금리 정책, 수익률 곡선 통제와 같은 다른 통화 정책 도구를 사용합니다.

    엔화 약세는 수입품을 더 비싸게 만들고 일본 시민들의 생활비를 증가시키는 것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나라는 장단점을 균형 있게 맞춰야 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