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규욤미소
규욤미소23.03.01

바닷물은 왜 소금을 머금은 짠맛인가요?

바닷가에서 놀다가 입에 물이 들어가거나 입맛다실때 입주변에 있던 물이 들어가면 짠 맛이 나잖아요 바닷물에선 왜 짠맛이 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은 소금물로서, 많은 양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바닷물에 들어있는 염분 중 대부분은 나트륨 염인 염소산나트륨(NaCl)입니다. 이 나트륨 염은 물 분자와 상호 작용하여 이온 상태로 존재합니다.

    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나트륨 염이 바닷물의 짠맛의 주요 원인입니다. 이런 이유로 바닷물을 맛보면 소금 맛이 나는 것입니다. 또한, 바닷물에서 나트륨 염 이외에도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바닷물의 짠맛은 다양한 요리나 음료수에 사용되는 소금과는 달리,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미네랄이 많아서 매우 풍부한 맛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너무 많은 바닷물을 마시는 것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적당량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01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짜다는 것은 소금뿐만 아니라 다른 무기질과 미량 원소들도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은 지표면에서 햇빛과 기온에 의해 증발하여 수증기가 되고, 수증기는 대기 중의 물분자와 함께 상승하여 고도가 높아질수록 온도가 낮아져 응결합니다. 이 과정에서 대기 중의 먼지, 염분, 유기물 등이 공기 중에 떠다니면서 수증기 주위에 결합하여 구름이나 안개가 형성됩니다. 그리고 구름의 입자들이 충돌하면서 충격파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입자들은 더욱 큰 입자로 합쳐지고, 지표면으로 비가 내리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땅 위의 물이 지하수로 스며들면서 지하수 층에서 지하수로부터 나온 물이 바닷물이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닷물은 지하수 층에서 녹았던 암석과 토양의 미량 원소 및 염분 등이 포함되어 있어서 먹으면 짜고 소금 같은 맛이 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는 염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짠맛이 나는것이고요. 이를 이용한게 염전입니다. 그리고 바닷물에는 각종 미네랄이있기 때문에 사우나 같은 해수탕으로도 이용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 ^^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 화산활동으로염분을 포함하고 있는 육지의 암석 표면을 빗물이 씻어 내리고, 냇물과 강물을 통해 바다로 흐르는 작업을 수억년간 반복하면서 바닷물에 염분이 많이 포함되었다고 합니다.

    더 큰 부분은 해저의 화산폭발로 지속적으로 염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는 염분을 포함해 각종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바닷물의 염도는 약 3퍼센트로 100분의 3은 소금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바닷물은 육지에서 흘러들어오는 염분이 계속 쌓이고 해저의 화산활동 등에 의해 염분이 생기게 됩니다. 바닷물이 증발할 때는 순수한 수증기만 증발해서 다시 육지에서 비로 내리기 때문에 육지의 민물은 염도가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 이 민물이 다시 육지를 타고 바다로 흘러들면서 염분을 가지고 이동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