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6학년 초경1번이후 안해요?
초등6학년 초경 올 5월에 한번 하고 몇달째 안해요?
처음 할때 5일이상 하고 양이 아주 많았습니다.
체중이 많이 나가 살짝 걱정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위처럼 초경 이후에 하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거나 진료를 보는것이 좋겠습니다.
5월에 시작했다면 현재로써는 꽤 긴시간이 지난것으로 볼수있기에
부인과에서 진료를 보시는것이 좋을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처음하고 나서의 주기는 불규칙적입니다. 일년정도 안 하는 아이도 있을정도로 불안정 합니다. 길게는 이삼년까지도 규칙적으로 자리를 못 잡기도 합니다. 좀더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리 불규칙적이라고 해도 한 두 달 정도는 건너 뛸 수 있는데, 여섯 달 가까이 안한다면,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 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는 아하 의료 게시판에 문의해 보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은 아이를 데리고 병원에 가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초경 이후에 1년 이내에 3~4차례 정도 생리를 하지 않는다면
병원 진료가 시급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초경을 했더라도 아직 호르몬 균형이 미완성이기 때문에 첫생리 이후 1년정도 길게는 2년까지는 생리가 몇개월을 지나서 나오기도 하고 그나마도 매우 불규칙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호르몬 균형이 맞추어지면서 점차 생리주기가 규칙적으로 맞춰집니다. 하지만 첫 생리 후 6개월 이상 무월경 상태이면 자궁의 건강상태가 의심스럽게 됩니다. 6개월 이후까지 생리를 안하면 자궁의 건강상태를 병원에 가셔서 점검 해 보시길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병원에 가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확한 혈액 및 소변 검사
기타 다른 검사를 진행해야 원인규명이 가능할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체중과 연관이 있을 것 같기는 합니다
산부인과나 소아과에 방문하셔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기 초경으로 성조숙증이 나타난다면 성선 자극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4주 또는 12주마다 주사하는 사춘기 지연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규칙적인 운동과 수면 등으로 성조숙증을 전적으로 예방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성조숙증이 의심된다면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