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9

혈액형을 알게된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혈액형이란게 언제 어떻게 생겨났으며
구분하는 기준등을 알고 싶습니다.
혈액형의 유래에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진기한펭귄154
    진기한펭귄15422.12.09

    안녕하세요. 진기한펭귄154입니다.

    우리에게 혈액형의 종류가 몇 가지냐고 물어 본다면 아마도 A형, B형, AB형, O형 그리고 Rh형 정도로 답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들은 500여개나 되는 혈액형의 일부분인다. 혈액형이란 어떤 사람의 적혈구에 존재하는 항원을 의미한다. 즉, A형인 사람은 적혈구에 A라는 항원을 가진다는 뜻이고 AB형인 사람은 적혈구에 A와 B라는 항원을 가지며 O형인 사람은 A나 B항원이 모두 없다는 뜻이다. Rh양성이라는 말은 적혈구에 D라는 항원을 가진 사람을 말하고 Rh음성인 사람은 적혈구에 D라는 항원이 없다는 뜻이다. 사람의 혈액형이 수백 가지라는 말은 사람의 적혈구에 수백 가지의 항원이 존재한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혈액형중에 왜 일반적으로 ABO혈액형과 Rh혈액형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일까? 그 대답은 간단하다. ABO혈액형과 Rh혈액형이 수혈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500여 개의 혈액형들은 각각 항원・항체 반응에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다행이 A BO혈액형과 Rh혈액형을 제외한 대부분의 혈액형 항원들은 면역성이 약하여 항체 형성을 잘 유발시키지 못한다. 이런 혈액형은 일반적이지 않기 때문에 수혈 혈액으로 쓸 수 없고 중요하지도 않다.

    ABO혈액형의 역사

    사람의 혈액형이 알려진 것은 100년 전인 1900년이다. 비엔나 대학의 연구 조교였던 란트슈타이너 (Landsteiner)가 어떤 사람의 혈청이 다른 사람의 적혈구를 응집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ABO식 혈액형이란 체계를 세상에 발표했다. ABO식 혈액형의 원리는 사람의 적혈구 표면에 있는 서로 다른 응집원을 A와 B로 나누고 혈청의 응집소를 항A-, 항-B로 분류한다. 각각의 응집원과 응집소를 섞어 응집이 일어나는 관계를 토대로 A, B, O, AB형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Rh혈액형의 역사

    1940년 란트슈타이너의 제자인 위너(Wiener)는 사람의 적혈구에 벵골원숭이(Rhesus)와 같은 혈액형 인자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를 연구하여 벵골 원숭이의 이름을 따서 Rh혈액형 체계를 발표했다. Rh혈액형에도 항원은C , D, E, c, e,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중 면역반응이 가장 강한 D항원이 있고 없음에 따라 Rh(D)양성과 음성으로 분류한다. 동양인의 경우 Rh(D) 음성은 대략 1 % 미만이다. 참고로 백인은 16% 정도이다. 우리 나라는 전체의 0.1% 정도가 음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