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5.03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는 각각 어떤 의미하며, 어떻게 다른가요?

주식에서 코스피, 코스피200, 코스닥, 코넥스는 각각 어떤 의미이며, 어떻게 다른가요? 그리고 이렇게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아울러 각각의 장점아나 단점 또는 특징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민창성 경제전문가blue-check
    민창성 경제전문가22.05.05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스피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상장된 거래소입니다. 코스닥 미국 나스닥을 벤치마킹 하여 1996년에 개장한 기술주 중심의 거래소입니다. 코넥스는 2013년에 개장한 비상장 주식 매매 거래소입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상장 조건이 다르며 일반적으로 코스닥 상장 심사가 코스피 보다는 덜 까다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상장을 원하는 기업의 경우 바로 코스피로 가는 경우도 있고 네이버처럼 코스닥을 거쳐 코스피로 이동 상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 코스피 시장 상장요건은 300억원이상의 자기자본과 매출액이 1천억원이상,,상장주식 100만주 또는 평균매출이 700억원이상등 요건이 갖추어져야하며 코스작은 30억원이상 자기자본 규모에 시가총액 90억원이상으로 매출은 50억이상정도 되어야합니다. 코넥스는 코스닥시장의 상장요건을 갖추지못한 벤처기업 및 중소기업으로 상장할수 있도록한 중소기업 주식시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https://mbanote2.tistory.com/entry/%EC%A3%BC%EC%8B%9D%EC%8B%9C%EC%9E%A5%EC%9D%B4%EB%9E%80-%EC%BD%94%EC%8A%A4%ED%94%BC-%EC%BD%94%EC%8A%A4%EB%8B%A5-%EC%BD%94%EB%84%A5%EC%8A%A4-%EC%8B%9C%EC%9E%A5-%EB%9C%BB%EA%B3%BC-%EC%B0%A8%EC%9D%B4

    우리나라 한국거래소에서 제시하는 상장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가증권시장, KOSPI>

    http://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10101/LST04010101.jsp

    <코스닥 시장>

    http://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20100/LST04020100.jsp

    <코넥스 시장>

    http://listing.krx.co.kr/contents/LST/04/04030200/LST04030200.jsp#1b853e0648bda5a46d63d7251a6533da=1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 코스피, 2. 코스닥, 3. 코넥스 세개를 나누는 기준은 기업의 규모와 기업의 성향에 따라 나눠집니다.

    코스피는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의 약자로 1956년에 개장된 주식시장을 말한다. 다른말로는 한국거래소라고도 합니다. 대한민국의 제 1 증권시장이며, 전체 시가총액은 세계 10위안에 들 정도로 큰 주식 시장입니다. 코스피의 상장요건을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이 대기업 또는 중견기업 중에서도 대기업에 견줄 수 있는 규모를 갖어야 코스피에 상장할 수 있습니다.

    코스닥은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oted Quotation의 약자로 1996년에 개장된 한국의 두번째 증권시장입니다. 코스닥은 현재 한국 거래소의 2부라고 하며, 보통 중견~중소기업이 모인다고 잘 알고있습니다. 그러나 본래 코스닥은 "기술중심"의 기업을 모태로 유망한 기술을 갖고있는 기업들을 모아두는 종목으로 미국 나스닥을 벤치마킹해서 만든 거래소입니다.

    코넥스의 목표는 스타트업이나 벤처기업의 자금을 융통성있게 확보해주기위해 만들었습니다. 그만큼 위험성이 큰 종목이 많습니다. 코넥스 상장 기업들을 보면 매출액 10억이라는 조건이 있는데, 이는 동네에 큰 식당들도 달성 가능한 조건입니다. 상장요건이 쉬운만큼 기업의 재무구조도 앙상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렇기때문에 코넥스 상장기업은 6개월에 한번씩 의무적으로 기업의 현황을 공개하는 기업설명회를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