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하와와
하와와

아주 어릴때부터 사교육에 얽매이게 되는건가요?

우리는 무엇을 위해서 아주 어릴때 부터 그리도

사교육에 교육에 얽매이나요?

명문대에 가서 훌륭한 사람이 되기위해서?

교육의 방향이 뭔가 잘못 되어가고 있는건 아닌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우리나라의 입시제도와 학벌주의가 사교육 활성화로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 교육의 병폐라 할 수 있겠습니다.

    사회적인 풍토가 변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 우리나라의 사교육은 분명 문제가 있습니다.

    사교육은 왜 받는 건가요? 명문대에 가기 위해서?

    명문대는 왜 가려고 하는건가요? 좋은 직장에 가기위해서?

    그러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좋은 직장이 대학네임밸류없이 인성/실력으로 뽑으면 되는데

    그게 쉽지가 않죠.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 사교육에 얽매이는 이유는 훌륭한 인재가 되길 바라는 마음에 사교육에 열정적으로 파고드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사교육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자신의 꿈을 대신 이루어주길 바라는 마음으로 아이의 교육에 힘쓰는 부모님들도 계십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들에게 사교육도 좋지만 아이들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야 한다 라는 점 입니다.

    또한 학습은 아이가 원할 때 시키는 것이 학습에 대한 효과과 높습니다.

    어릴 때 부터 사교육은 까지는 아니더라도 선행학습은 시켜야 합니다, 그 이유는 학습에 대한 진도를 따라가야 하기 때문 입니다.

  • 정부에서도 사교육을 줄이려고 여러가지 정책을 내놓아도 쉽게 해결되지 않아요.

    사교육는 누가 시키는 것이 아니라 부모님이 가지고 있는 교육가치관과 철학에 의해 시키는 경우가 많죠.

    아이가 원해서 다니는 경우도 있지만요.

    사회분위기로 다니는 아이도 있구요.

    하지만 사교육을 하지 않고 자기주도학습으로 공부 열심히 하는 아이들도 있지요.

    조금더 학습에 도움되기 위해 다니는 경우도 있고

    사교육을 안하는 아이들이 공부의 한계를 느끼는 경우도 있지요.

    사교육은 의무가 아니니 부모님과 아이가 결정할 문제인거죠.

    원하는 대학과 직업을 가지기 위해서 목표를 세워 공부를 하고

    선택할 수 있는 폭도 넓어지니 더 열심히 노력하는거 같아요.

  • 이건 비단 우리나라만 그런게 아니죠. 좋은 학교 좋은 학벌로 인해 그뒤에 따라오는 학연 지연과 좋은 직업까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기때문입니다. 물론 사교육에 얽매어 더 중요한걸 놓칠 수 있기도 하니 적당히 타협점을 찾는게 중요하다봅니다.

  • 사교육의 경우 개인적으로는 문제가 많다고 합니다. 학교에서 배워야 하는것들은 선행학습으로 다 배우고 복습을 해서 좋은 학교를 가기 위해서 공부를 한다고 합니다. 이는 결과가 좋다면 좋을수가 있지만 한사람의 인생에 있어서 아주 큰부분을 놓친다고 생각합니다.

  • 사교육은 교육에 있어서 너무 과열된 경쟁을 일으키는것은 사실일수있으며

    아직 우리나라 사회에 있어서 공부라는것의 중점이 커서 그럴수있으며

    공부는 =성공 이라는 공식이 자리잡아서 그럴수있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분명 사교육에 의존하는 우리 사회의 교육 행태는 문제가 있습니다. 다만 공교육이 교육기능상 제 기능을 못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기때문에 사실상 공교육만으로 모든 교육이 완벽히 해결되지는 못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해서 모든 학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열의와 갈망을 충족시켜주기 힘든게 현실입니다. 그러다보니 사회적 관심과 학부모들의 니즈로 인하여 사교육쪽으로 얽매이는 안타까운 풍조가 생겨버린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