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에서의 환율 변동이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휴일은 잘 보내셨는지요.
다름이 아니라 국제 무역관에 환율 변동이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환율 변동은 국제 무역관에 수출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수출이 증가하고, 수입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수입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환율 변동은 국제 무역관의 수출입 균형과 경상수지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수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집니다. 이는 수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 물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면, 수입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수입 물량은 감소합니다. 따라서 환율 상승은 국제 무역관의 수출 흑자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입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집니다. 이는 수입품의 가격 경쟁력을 낮추고 수입 물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면, 수출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수출 물량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환율 상승은 국제 무역관의 수입 적자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경상수지
수출과 수입은 경상수지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환율 변동은 경상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 상승은 수출 흑자를 확대하고 수입 적자를 감소시켜 경상수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단기적으로는 환율 변동에 따른 상품 가격 결제 통화에 따라 파급 영향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달러로 결제될 경우, 원화가치 하락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달러 결제 비중이 높을 경우, 단기적으로 달러 가격이 경직적이기 때문에 원화가치 뿐만 아니라 교역국 통화의 달러 대비 가치도 환율 변동의 파급에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환율이란 특정국가(예:우리나라 원화)의 화폐와 외국 화폐(예:미국 달러)간의 교환비율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원화와 미국 달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미국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면 미국 달러의 수요가 많아지고, 미국 달러 수요가 많아지면 더 많은 돈을 주고 달러를 교환해야 하므로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환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환율이 오르면 수출하는 물품의 가격이 하락(원화가치 하락)하는 효과가 있어 수출이 증가할 수 있는 시각이 있습니다. 그런데 환율이 올라 수입 원자재나 부품 가격이 상승하면, 물품 제조원가 등이 증가하게 되므로 오히려 물품의 절대적인 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원유의 국제시세가 1배럴에 75달러인데 원/달러 환율이 1,000원에서 2,000원으로 상승한다면, 기업은 원유 100배럴을 구입하기 위해 이전보다 7,500,000원을 더 지불해야 합니다. 이처럼 원화로 환산한 수입 원자재나 부품 가격이 오르면 물품 제조원가가 상승하므로 제품의 최종적인 가격은 상승하게 될 수도 있게 됩니다. 나아가 제품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은 구매를 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또, 외국에서 물품을 수입하여 국내 판매하는 기업들은 수입 물품에 대해 원화로 지불해야 할 금액이 환율이 낮을 때 보다 많기 때문에 기업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국내 판매가격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제무역에서 환율은 굉장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무역거래가 원화가 아닌 외화(대표적으로 달러, 유로 등)로 결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1차적으로만 보았을때 환율의 변동에 의해서 대표적으로 달러화 강세장이면 수출자가 유리, 약세장이면 수입자가 유리해지게 됩니다.
또한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512&cidx=1634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환율이란 간단하게 통화의 상대적 가치를 뜻합니다. 국제통화는 USD 즉 미국달러를 기준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보통 USD / KRW 환율에 민감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수출기업입장에서는 같은 외화를 받더라도 더 많은 돈을 받게 되기에 이익이며, 수입업체의 입장에서는 외화결제 시 더 많은 원화를 지불하여야되기에 손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환율이 떨어지면 수출기업은 손해, 수입기업은 이익을 보게 됩니다. 별다른 변수가 없다면 이러한 부분들이 자연스럽게 사이클을 만들면서 환율의 고저를 형성하게 되며 보통은 박스권을 그리면서 고착화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환율 변동은 수출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기업은 같은 가격으로 수출품을 판매해도 원화로 더 많은 금액을 받게 되므로 수출 단가가 낮아져 수출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반면, 수입기업은 같은 가격으로 수입품을 구매해도 원화로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하므로 수입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율이 상승하면 수출은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하여 무역수지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출 증가로 생산과 고용이 증대되어 경제 성장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율 상승은 국내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외채 상환 부담을 증가시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수출입 품목의 가격 탄력성, 수출입 기업의 경쟁력, 대외 경제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