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다은다훈맘
다은다훈맘22.08.03

1세대 실비보험인데 보험료가 많이 오르나요?

제가 종합보험에 실비보험이 담보로 되어있고..

나머지는 비갱신인데 실비보험만 갱신으로 되어있거든요.

지금 내는 보험료에서 1세대 실비보험인데 보험료가 많이 오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일단 올해 1~3세대 실손 보험료 인상율이 14.2%로 1~2세대의 경우 16%, 3세대는 8.9% 가량 오를 전망입니다. 하지만 1세대의 경우 5년 마다 보험료가 인상되고 60세 이상이 되면 연령 증가분도 포함되므로 보험료 폭탄이라는 얘기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1세대실비는 100%라서 추후에 갱신폭탄 가능성이 농후해요.

    그래서 빨리 전환을 하라고 말을 하는거죠.

    최소 2배에서 최대 2.5배가지 상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험사에서 1세대 실손 때문에 손해율이 너무많이 올랐다고 투덜되서

    갱신이 되면 보험료가 얼마나 상승할지는 아무도 몰라요..

    질문자님께서도 4세대 실손으로 전환을 추천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 안녕하세요. 조정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

    1세대 실비보험은 대부분 건강특약과 함께 가입되어져 있습니다. 물론 1세대 실비보험은 갱신율이 높기 때문에 5년마다 한번씩 갱신되더라고 상당히 많이 오른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또한 1세대 실비에 있는 건강특약으로는 현재의 건강을 지키는데 많은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가를 통하여 보장분석을 꼭 받아보시고 1세대 실비에 대한 전환, 그리고 실비에 함께 있는 건강특약이 정말 내가 보장받는데 충분한지, 아니면 어떻게 보험을 유지해야 하며, 어떤 보험이 더 필요한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설명을 들으시는 것이 가장 먼저 하셔야 할 일일것입니다. 대부분 실비보험과 함께 가입된 특약은 불필요한 특약들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보험 진단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가장 기본이 되는 보험을 정리해드리니 현재의 보험과 잘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질문자님 아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보험들 및 그 내용을 정리하여 드립니다. 아래 정리해드리는 내용은 누구나 꼭 반듯이 필수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특약들을 정리한것입니다. 어느 회사의 보험을 가입하시든 적어도 제가 정리해드리는 내용은 모두 포함되어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보장을 든든하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꼼꼼히 읽어보시고 질문자님의 건강한 미래를 잘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보험은 나이 성별 직업 그리고 건강정도에 따라 보험료가 다 다릅니다. 보험은 기본적으로(필수) 아래 세가지의 보험이 필요합니다.

    첫째 실손보험 : 실손보험은 병원비를 보장하는 보험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병원 통원, 약재비, 입원비, 수술비등 발생된 병원비에서 자기 부담금을 제외하고 보상을 받는 보험으로 필수보험입니다.

    둘째 종합건강보험(나이에 따라 30세 미만은 어린이종합건강보험, 30세이상은 성인보험) : 종합건강보험은 큰 질병들에 대한 진단비 및 수술비등으로 구성됩니다. 기본적으로는 아래 내용이 반듯이 포함되어야합니다.

    1) 암, 뇌혈관, 심혈관질환에 대한 진단비 및 수술비 : 진단비는 많을 수록 좋으나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수술비는 무조건 가입하는 보험에서 허락하는 최고금액으로 가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진단비는 평생의 한번만 나오지만 수술비는 수술할때마다 보상을 받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뇌혈관, 심혈관의 경우는 재발의 확율이 높기때문에 수술비를 든든하게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진단비 및 수술비는 정액으로 보상됩니다.

    2) 각종 질병 및 상해에 대한 일반 수술비 및 종 수술비 : 일반 수술비는 거의 모든 수술비에 대한 정액보상이 가능하며, 종 수술비란 질병분류코드에 의하여 1종부터 5종(회사마다 종의 차이는 있습니다)으로 구성되며 해당되는 질병이나 상해에 대하여 정액으로 보장됩니다(정액이란 가입당시 보장금액이 정해져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즉 가입당신 5종 수술비를 1천만원으로 계약을 했는데, 질병 발병후 5종 수술에 해당하여 수술을 받았는데 수술비가 5백만원밖에 안나올 경우도 있겠지요. 이때도 1천만원이 보상된다는 의미입니다).

    3) 64대 혹은 119대(회사마다 종류는 차이가 있습니다) 질병 수술비 : 역시 정액으로 보상되며 매 수술시마다 수술비가 보상됩니다.

    이와 같이 기본(필수)적인 보장내용과 더불어 더 많은 특약들이 있는데 그특약들로부터 필요한 것들을 골라서 추가로 가입하면 병원비 걱정을 많이 덜어낼 수 있습니다.

    셋째 운전자보험+상해보험 : 운전자보험과 자동차보험은 그 성격이 완전히 다릅니다. 자동차보험은 민사사고에 대한 보상을 하며, 운전자보험은 형사사고(중과실사고나 인사사고등)에서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금액은 25000-30000원 사이에 가입하는 보험이지만 20년동안 100번의 사고가 나더라도 다 보상이 되며 보험료 인상은 없습니다.

    더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제 프로필을 확인하시고 문자로 질문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04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1세대 실비 보험의 경우 보장이 좋은 만큼 가입자의 보험금 청구도 상당합니다.

    때문에 갱신시 보험료가 상당히 많이 인상되는 보험중 하나 입니다.

    보험료 인상이 어느 정도일지는 알 수는 없으나 다른 실비 보다는 좀 더 많은 인상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성 보험전문가입니다.

    보장조건이 좋은만큼 보험료가 높고,

    갱신시에도 보험료가 많이 오르게 되어 있습니다.

    아직 젊은분들은 크게 안보일 수 있겠지만

    해당 실비보험을 가입한 50~60대 분들은 실비보험 보험료만으로 10~20만원 정도를 내다가

    부담되어 전환하는 분들도 많아요.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문의사항 있으시면 프로필을 통해 질문 남겨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실손의료비 전환은 계약시기에 따라 장단점을 따져보셔야 할꺼 같습니다.

    현재 실손의료비는 09년 10월, 16년 1월, 17년 4월 의 3차례 약관개정에 따라 보장율이 축소되었습니다.

    또한 21년 7월 약관개정에 따라 보장율이 더욱 축소되었습니다.

    따라서 지병이 있으시거나 계속적인 치료를 하시는 분이라면 현재 유지하는 보험이 더 나은 선택일수 있습니다.

    다만 새로 개정되는 실손의료비 약관은 보험료를 청구금액대비 차등하여 할증과 할인 혜택을 주기때문에 병원에 많이 가시지 않는다면 보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할수 있습니다.

    ○ 보장성을 중시하신다면 현재계약을 보장성보다 월 보험료가 신경쓰이신다면 개정후 상품을 알아보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은성 보험전문가입니다.

    실손의료비는 모두 갱신형 입니다. 예전 실손은 3년, 5년마다 갱신이 되며, 현재 4세대실손의 경우 1년마다 갱신 됩니다.

    현재 4세대 실손이 예전실손대비 보험료는 저렴하지만, 자기부담금이 높고 보험금청구시 할증이 최대 300%까지 발생하기에

    4세대 실손으로 전환은 보험료가 부담되실 경우에만 고려하시는 게 좋으실 것 같습니다.

    실손보험료가 얼마나 오를지는 정확히 알수는 없으며 보통 갱신전에 안내문 통해 확인이 가능 합니다.

    또는 콜센터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승민 보험전문가입니다.

    1세대실비는 실비중에서도 가장 혜택이 좋은 실비입니다.

    질병입원시에는 자기부담금이 없고 통원시에는 5000원의 부담금만 있기에고객입장에서는 가장 혜택이 좋고 보험사 입장에서는 가장 손해가 높은 상품입니다.

    이보험을 계속 유지 시키기 위해서는 보험사에서는 손해를 보며 보험을 유지할수가 없기에 고객들에게 갱신시에 보험료 할증으로 유지 할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보험사 입장에서는 손해율이 높은 상품이기에 갱신시에 보험료할증이 높을수 밖에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재진 보험전문가입니다.

    가입연도에 따라 실비는 1~4세대로 구별되며 현재는 4세대 실비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4세대 실비는 개개인 청구내용으로 보험료가 증가하지만

    1~3세대 실비는 개개인 청구내용과 관계없이 보험사 손해액을

    해당 세대 가입자 전체가 부담하기 때문에

    청구를 하지 않더라도 갱신시 상승폭이 매우 큽니다

    매 갱신시 마다 1.6~2배정도는 상승한다고 생각하시면 되기 때문에

    보험료를 감당가능하시고 건강이 좋지않아 청구를 많이 하시는 경우가 아니시라면 갱신전까지만 유지하시다가

    전환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2009년까지 판매된 1세대 실손보험과 2017년 3월까지 판매된 2세대 실손보험은

    내년에는 평균 16% 수준으로 인상예정입니다.

    일반적으로 1세대 실비가입자는 3년에서 5년 갱신 도래 시점을 맞이하는데,

    갱신시점에 5년간의 인상률이 일괄 적용되는 터라 50%에서 100%에 달하는 보험료 인상 폭탄을 맞을 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