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이 활자 개발은 서양보다 빨랐으나 출판업의 진흥으로 이어지지 못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활자는 구텐베르크보다 빨랐다고 하는데
민중에게 출판업의 발달로는 바로 이어지지 못한 것 같은데
활자의 개발은 빨랐으나 출판업의 발전으로 가지 못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금속활자가 최초로 발명된 13세기까지는 활자끼리 맞물리게 하는 기술적인
부분이 미흡했기 때문에 밀랍으로 두
활자를 붙여서 찍어내는 불완전한 방식을 채택했으므로 한번에 통째로
찍어내는데 무리가 많았습니다.
금속 주조 능력의 부족으로 글자의 모양이 바르지 못하고 획의 굵기가
불안정했으며, 인쇄 중에 흔들림이
많아서 글자가 번지거나 흐려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많은 양을 찍지 못하고 중간중간마다 밀랍을 부어서 재조립해야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