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나무777
나무77723.04.11

흡혈귀는 정말 존재했나요? 흡혈귀는 아니더라도 흡혈 동물이 정말 존재하나요?

영화에서나 볼법한 일들이 실제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잖아요. 흡혈하는 사람이 정말 존재했을것 같은데, 역사적인 유래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흡혈귀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픽션입니다.인간은 없습니다

    그러나 흡혈동문은 모기도 흡혈동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기,거머리,흡혈박쥐외에 피빨아먹는 동물, 곤충에는 체체파리, 진드기, 칸디루라고 하는 작은 투명한 메기입니다.

    체체파리는 파리종류인데 아프리카에 주로 많이 살죠.

    진드기는 주로 개의 피를 빨아먹습니다.

    그리고 칸디루라고 하는 작은 투명한 메기는 물고기의 피에 대한 식욕이 무척이나 강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흡혈 박쥐라고해서 외국에서 양과 염소의 피를 빨아먹는 박쥐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합니다. 광견병 같은 정신질환에서 흡혈귀가 유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흡혈 동물은 인간이나 동물의 혈액을 들이마시는 동물입니다 생존을 위해서 주로 혈액만을 섭취하는 것과 생존을 위한 주식은 따로 있으면서 산란에 즈음하여 난소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때때로 혈액을 빨아들이는 것이 있습니다. 사람을 공격하는 것 중에도 사람만을 덮치는 것, 넓게는 포유류를 덮치지만 그 하나로서 사람도 덮치는 것, 우발적으로 사람을 공격하는 것이 있는데 전자는 인간의 거주환경 가운데 생식지를 가지는 것이 많아 위생적인 환경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후자는 그런 지역에 들어갈 때 주의하면 되는데 가장 먼저 거머리 있지요 지소,삼림, 바다등 물가에서 생활하는데 자웅동체로, 많은것은 연체동물이나 지렁이 등 다른 작은 동물을 포식하지만 일부 어류 양서류 포유류 같은 척추 동물로부터 흡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절족동물들;산란을 위해서만 흡혈하는 것은 모기가 있지요. 그들의 주식은 과즙이나 꽃의 꿀이며 암컷이 산란기 단백질 섭취를 위해서 피를 빨아 들인다고 합니다. 흡혈행위는 암컷 만이 실시 하지요. 빈대나 벼룩 파리목 진드기아강 박쥐 등이 있다고 합니다. 특히 중남미에 생식해 동물의 혈액을 섭식하는 박쥐. 혈액으로 식사를 섭취하는 박쥐는 세계에 3종이 확인되고 있지만 2종은 조류의 혈액을 섭식하게 때문에 포유동물로부터 흡혈하는 유일한 종.흡혈귀의 화신이라고 하면 박지이지만 대부분의 박쥐는 벌레를 먹거나 꽃의 꿀을 들이마시는 것으로 피를 빨아 들이지 않습니다. 흡혈귀의 화신으로 서의 박쥐상이 일반화 한것은 근대 이후 문예작품이나 영화의 영향이 강하고, 전통적인 것은 아닙니다. 주로 가축의 다리등에 면도칼과 같은 앞니로 상처를 입혀 상처로 다른 흡혈동물과 같이 혈액 응고를 타액 성분으로 막으면서 핥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흡혈귀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흡혈귀(吸血鬼)는 '밤중에 무덤에서 나와 사람의 피를 빨아 먹는다'는 전설상의 귀신으로, 영어로 '뱀파이어(vampire)'라고 합니다. 흡혈귀로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드라큘라(Dracula)가 있습니다. 드라큘(Dracula)는 영국의 작가 스토커(Stoker, B.)가 지은 괴기 소설 속에 나오는 '흡혈귀의 이름'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흡혈귀는 역사상 기록으로 보면 있다고 전해지지만 실제로 그랫는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지금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있었다고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하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흡혈귀는 없더라도 흡혈박쥐는 존재 하는데 흡혈 박쥐과에 속하며 학명은 Desmodus rotundus 입니다. 몸길이 75-90mm, 앞발길이 50-63mm, 몸무게는 15-30g입니다. 귀가 뾰족하고 엄지손가락이 길며 털이 없는 퇴간막이 있고, 꼬리가 없다고 합니다. 20개의 이빨이 있는데 두 개의 끌과 같은 상절치와 두 개의 위송곳니가 가장 크고 보통 동굴에 주거하지만 고목 속이나 오래된 광산의 갱도, 비어 있는 건물 등에도 산다고 합니다. 이러한 흡혈 박귀는 몸집이 큰 동물, 예를 들어 소나 말, 하마 등과 같은 동물이 잠든 사이에 모기 처럼 타액을 이용해 동물들의 피부에 구멍을 뚫고 몸속의 관을 이용해 피를 흡입 한다고 합니다 마치 모기 처럼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