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부유한삵295
부유한삵29524.02.13

명태는 아직도 우리나라에서 잡히질 않나요 그럼 어디에서 많이 잡히나요?

명태는 우리나라사람이 좋아하는 생선중에 한 종류입니다

그런데 지금도 우리나라에서는 안잡히나요 그럼 어디에서 잡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숭늉한사발입니다.

    명태의 어획량은 우리나라에서는 0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러시아 해역에서 많이 잡히고 우리나라에서 수입하는 명태 중의 러시아산 비중이 80%이상입니다.

    일본에서도 수입하구요.


  • 안녕하세요. 시뻘건무당벌레33입니다.

    1980년대 초반까지는 동해의 명태 어장이 워낙 풍부했기에 우리가 잡은 어획량으로도 충분히 자급이 가능했던 대한민국의 대표생선이었다.

    과거에는 남측 수역에서도 시기에 따라 어장만 잘 파악하면 출항하는 족족 만선으로 돌아오는 게 당연할 정도였고 소득 증가로 인해 수요량이 더 늘어난 것도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니었을 정도로 어획량이 넉넉했던 생선이었다. 지금은 대한민국 근해에 서식하던 명태 개체군이 사실상 절멸했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81년 연간 어획량 16만t을 정점으로 10만t 이상이 꾸준히 잡혔지만 1990년대부터 급속히 줄어들어 2001년부터는 통계조차 잡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문제가 된 것은 동해의 북방한계선 기준 북측 수역에서 더 많이 잡히는 바람에 위성 항법장치가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의 어선들이 NLL 이북으로 가서 명태를 잡아오기 일쑤였고 NLL을 넘어가는 것을 매우 걱정하던 대한민국 해군 함정들까지 덩달아 NLL을 넘나들며 애를 태웠다는 것이다.

    물론 어민들이 명태잡이 하루이틀 한 것도 아니고 어디로 얼마나 가면 북측인지는 다 알고 있었지만 명태를 많이 잡으려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한다. 또한 이를 북한에서도 모르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치밀하게 준비하여 해안포로 공격해온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이 벌어지기도 했다.

    2014년도에는 한국 해역에서 잡힌 명태의 개체수는 200~300마리 수준이라고 2015년 1월 25일 1박 2일 명태 특집에서 언급되었다. 명태 어업의 최전선이었던 강원도 고성군 거진항에서는 매년 명태축제가 개최되는데, 국내 생산량이 없어 러시아산 수입 명태로 축제를 벌이는 실정이며 고성군·속초시·양양군 지역 특산품으로 설악산 관광객들이 많이 구입하는 황태 또한 수입한 명태를 국내에서 말린 것이다.

    현재는 북한에서도 명태 멸종이 우려된다고 한다. 다만 이는 수온 상승보다는 남획 때문이며 중국 어선이 동해까지 진출하여 싹쓸이 포획을 하고 있고, 이조차도 어선이 부족하여 중국이 일본의 어선을 구입해서 사용할 정도라고 한다.


  • 안녕하세요. 훤칠한천산갑185입니다.잡히긴해도 너무소량이고러시아에서 많이잡힌다네요 그의가 다 러시아에서 수입합니다


  • 안녕하세요. 거대한 명군 1623입니다.

    예 그렇습니다 아직까지도 명태는 우리나라에서

    잡히질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듯 합니다

    그래서 러시아 쪽에서 수입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