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거대한   명군  1623
거대한 명군 1623
23.08.21

혹시 우리나라 바다에서 명태가 잡히나요?

예전에는 발에 밟히듯이 잡혔다는 명태가 언제부터인가 안잡힌다고 하는데 혹시 요즘에도 우리나라 바다에서 명태는 잡히나요 안잡히나요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가을비가 내리는 10월입니다.
    가을비가 내리는 10월입니다.
    23.08.21

    안녕하세요. 뜨거운 여름은 바닷가에서~~입니다.


    요즘은 기후변화로 국내산 명태는 식탁에서 접하기 어렵고, 대부분이 러시아산 등 수입산이 많습니다.

    시중에 풀리는 명태는 대부분 수입산이라고 생각하시고 드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 우리나라 연안에서 명태는 잡히지 않는다고 보셔야 합니다.

    발에 밣힐 정도로 잡히던 시절에 새끼까지 잡아댄 결과이지요.

    의미잇는 어획량이 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냉철한지어새50입니다.

    너무 남획을 해서 그렇다고도 하고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안잡히는게 중요합니다

    명태가 위로 올라가 러시아해안에서

    잡힌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냉철한줄나비274입니다.

    명태는 차가운 바다에서 서식하는 생선이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로 인해 서식지가 줄어들었으며, 어민들이 어획량을 늘리다 보니 개체수가 급감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검붉은홍학98입니다.

    간혹 그물에 한두마리씩 올라온다고 합니다. 명태는 1년 내내 금어기 즉 잡으면 안되는 어종이고 가끔 잡히는 것들도 번식 사업을 통해 바다로 나간 명태 새끼들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예전엔 우리나라 동해에서도 많이 잡혔지만 지금은 수온변화로 거의 잡히지 않아 수입이나 원양어선을 통해서 들어오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상승기류입니다.

    우리나라 연안의 기온과 해양 표층수온의 상승에 따라 주요 서식 어종에도 변화가 있다고합니다. 한류성 어종은 씨가 마르고, 난류성 어종은 크게 늘어났다고합니다.

    한류성 어종인 명태는 거의 멸종돼 전혀 잡히지 않는 데 비해 난류성 어종인 멸치와 오징어 어획량은 크게 증가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부유한삵295입니다.

    사실상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수산업연구소에서 연구을

    하고 치어 방류도 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이렇다할 성과는 없다고

    합니다

    지금소비되는 명태는 러시아쪽에서

    수입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빼어난뜸부기129입니다.


    지구온난화 문제로 1990년대 이후 명태가 우리나라에서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수입산이 많을겁니다!!

  • 안녕하세요. 할수있다는자신감을가져보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더이상 잡히지가않아서 수입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양식하기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하더라구요

  • 안녕하세요. 보랏빛칼새151입니다.

    아구 ㅠㅠ

    이젠 우리나라 바다에서는 찾아 보기힘들데요.

    가까운 러시아 쪽에서 잡아오거나 수입해서 쓴다고 합니다.

    중국에서 씨를 말리고 있는중이라 다른종도 점점 찾기 힘들다고 해요

  • 안녕하세요. 질문이답변을 만날때 지식플러스입니다. 한달에 한두 마리 잡힐까 말까라서 보호어종으로서 관련 수산업 연구소에서 종자 보호 및 치어 생산 중이라고 들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3.08.21

    안녕하세요. 착한남자입니다.네, 명태는 주로 해양에서 잡히는 어종 중 하나입니다. 명태는 주로 북반구의 차가운 해역에 서식하며, 대서양과 태평양의 북쪽 해역에서 발견됩니다. 특히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북쪽 지역에서 많이 잡히는데, 한국도 명태 어종이 서식하는 지역 중 하나입니다. 명태는 맛있는 회나 조리 음식 재료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명태 어종이 어떤 지역에서 잡히는지 상세한 정보는 어종 분포와 어업 현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