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로 인해서 온도가 상승한다고 하는데, 만약에 이산화탄소가 없으면?
이산화탄소로 인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빙하 녹고 그렇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산화탄소 줄이기를 위해서 많이 노력을 하고 있는걸로 아는데요. 만약에 이산화탄소를 줄이게 되면, 그로 인해서 온도가 다시 낮아지나요? 온도가 낮아지면 그만큼 더 추워지고 겨울만 지속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탄소가 대기중에 많으면 온실효과 = 비닐하우스 처럼 태양에너지가 지구에 왔다가
내부에서 계속 따뜻하게 도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이산화탄소를 다 없앤다고 겨울만 나오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계절은 온실효과가 아니
태양과 지구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지구각 23.5도씨 자전축 기우러진 상태로 자전하기 때문에
태양과 만나는 방향의 빈도에 따라 계절이 정해집니다
결론은 이산화탄소를 줄인다 해서 겨울만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지구온난화를 막을 수 있고 지구의 자정작용을 통해서 이전으로 되돌아가길 바래야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약 이산화탄소가 없다면 지구의 온도는 상승하지 않을 것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 중 하나이며, 지구 대기에 존재하는 다른 온실가스들과 함께 태양 에너지가 지구로 들어올 때 지구 상층으로 돌아가는 열을 잡아냄으로써 지구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해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면, 이산화탄소가 더 많은 열을 잡아냄으로써 지구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승은 기후 변화를 일으키고 지구 생태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없다면 지구의 온도는 더 안정적일 것이며, 이는 지구의 생태계와 인간 활동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이산화탄소(CO2)를 줄이게 되면 지구 온도를 다시 낮출 수 있습니다. 이는 이산화탄소가 온실 기체로 작용하여 지구 상층의 열을 가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 지구 대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지구 온난화라고 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의 감소는 지구 온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대기 오염 저감,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감소를 위한 식물의 증가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라경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스스로 열과 빛을 내는 행성이 아니며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태양으로부터 지구로 온 열은 일정시간 유지되다가 다시 지구밖으로 빠져나가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와같은 일명 온실가스들의 비율이 높아지면 외부로 방출되어야 할 열이 방출되지못하고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태양으로부터 열은 지속적으로 지구에 도달하고 외부로 방출되는 열이 적어지니 온도가 올라가게 되는 것이지요.
이런 온실가스는 인간의 화석연료 사용이나 화학물질 사용으로 과도하게 배출되는데 이런 인위적인 활동을 줄여 이산화탄소 농도를 줄인다면 기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지는 않을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질문중에 있었던 겨울이 지속된다던가 하는 부분은 지구역사를 봤을데 빙하기 긴 시간에 걸쳐 반복되었던 것으로 예상되어지는 만큼 온실가스와는 별개로 싸이클이 있을것으로 판단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용찬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입니다.
때문에 이를 줄이게 되면 지구의 온도는 내려가게 될것이고요.
계절별 평균온도는 낮아질수는 있겠으나, 대한민국의 지리적 특성상 겨울만 있을리는 없습니다.
현재 인류는 산업화 이후 약1조6000천억톤(자료에서는 2017년까지 나와있으며 1억5000억톤이라고 제시되어 있으나 매년 방출량이 400억톤 이상이라는 다른 자료를 이용해서 현재의 상황을 필자가 임의적으로 제시함을 밝힙니다.)의 이산화탄소를 방출했습니다. 그 결과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410ppm을 넘었고 온도는 1.1'C가 상승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 드리지만 그럼 1.1'C와 1조6000억톤으로 1455억톤단 0.1'C가 상승한다고 하면 되는게 아니냐고 하실 수 있지만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너무나도 많습니다. 단순이 양에 비례하는게 아니라는점만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