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똘똘한랍스타75
똘똘한랍스타75

5살 여아 초고도난시 좋아질까요?

5살 여아 인데 안과에서 초고도난시라고 하네요 지금 난시로 인해 시력이 안나와서 안경을 쓰기 시작했는데

초고도 난시로인해 안경을 쓰면서 시력이 좋아지면 안경을 안써도 될까요?

ㅠㅠ눈이 이쁜 여아라 안경을 안쓰면 좋겠지만 ㅠㅠ 안경을 써야한다면 어쩔수 없지만 혹시 난시 좋아지는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강아지135
      검붉은강아지135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초고도 난시라면 시력으로 교정한다고 해서 나아지지 않습니다. 즉 한번 나빠진 시력은 되돌릴 수 없으며 난시의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따라서 안경으로 지속적으로 교정해줄 수 밖에 없으며 추후에 라식이나 라섹 등이 가능하다면 시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타깝지만 난시는 자연적으로 회복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경, 렌즈 등을 착용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꼭 안경을 쓰기 싫을 경우에는 렌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거나 라식, 라섹 등의 수술적 방법을 통해서 교정이 가능합니다. 아이가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이가 초고도난시로 고생이 지는군요 안 가지려는 보신 거죠 일반적으로 안경점 방 가서 치료를 받으시면 안 됩니다 렌즈를 사용해보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드림 렌즈라고 하여서 안경을 끼지 않고 도 시력을 교정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안과진료를 꼭 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자제 분이 처음으로 안경을 착용하여야 된다고 하니 많이 걱정이 되시겠습니다.

      소아에서 안경을 착용하게 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겠습니다.
      - 학업이나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줄 정도로 시력이 나쁠 때
      - 두눈의 시력(굴절도)이 차이가 날 때
      - 정상범위 이상의 난시가 있을 때
      - 사시 또는 사위가 있거나 눈의 통증 또는 두통이 있을 때

      지금의 상태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 없어 보다 정확한 답을 드리기가 곤란합니다.
      그러나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많은 불편함을 줄 수도 있어 아주 신중히 결정해야 될 것입니다.

      첫째로 안경을 매일 착용하고 다녀야 되는 불편함,
      둘째로 안경을 착용하고 다님으로서 생길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 (깨지거나 다칠 수 있을 가능성)
      셋째로는 외관상의 문제,
      넷째로 아이 본인이 눈이 심각하게 나쁘다고 생각하게 되는 심리적인 요인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안과 의사마다 견해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저는 종합적으로 득과 실을 고려해 서 결정해야
      더욱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경으로 교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난시는 수술외에 방법이 없습니다.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