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쾌활한이구아나273
쾌활한이구아나273

신라시대 역대 왕 순서가 궁금합니다

신라 건국부터 통일신라 멸망 전까지

신라 왕의 순서가 궁금합니다.

풀네임으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창백한오소리36
      창백한오소리36

      안녕하세요. 오파드입니다.
      [신라 왕 계보 (순서)]

      B.C.57 ~ A.D.935, 삼국사기 기준

      1대 혁거세 거서간

      B.C. 57 - A.D. 4

      신라 최초의 왕, 박씨의 시조

      ​2대 남해차차웅

      4 - 24

      1대 혁거세의 맏아들(박씨)

      3대 유리이사금

      24 - 57

      2대 남해차차웅의 아들(박씨). 석탈해에게 왕위를 양보하려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짐.

      4대 탈해이사금

      57 - 80

      2대 남해차차웅의 사위(석씨). 왜국의 다파나국 출신으로 석씨의 시조.

      5대 파사이사금

      80 - 112

      3대 유리이사금의 둘째 아들(박씨)

      6대 지마이사금

      112 - 134

      5대 파사이사금의 아들(박씨)

      7대 일성이사금

      134 - 154

      3대 유리이사금의 맏아들(박씨) 혹은 일지갈문왕의 아들이라고도 함.(삼국사기 기록)

      8대 아달라이사금

      154 - 184

      7대 일성이사금의 맏아들(박씨). 왕비는 지마왕의 딸.

      ​9대 벌휴이사금

      184 - 196

      4대 탈해이사금의 손자(석씨)

      ​10대 내해이사금

      196 - 230

      9대 벌휴이사금의 손자(석씨)

      ​11대 조분이사금

      230 - 247

      9대 벌휴이사금의 손자이자 내해왕의 사촌(석씨). 왕비는 내해왕의 딸.

      ​12대 첨해이사금

      247 - 261

      9대 벌휴이사금의 손자이자 조분왕의 친동생(석씨)

      13대 미추이사금

      262 - 284

      김알지의 7대손(김씨). 왕비는 석씨 광명부인으로 조분왕의 딸.

      ​14대 유례이사금

      284 - 298

      11대 조분이사금의 맏아들(석씨)

      ​15대 기림이사금

      298 - 310

      11대 조분이사금의 아들·손자·증손이라는 여러 설이 있음.

      ​16대 흘해이사금

      310 - 356

      10대 내해이사금의 손자이자 제11대 조분이사금의 외손자.

      ​17대 내물마립간

      356 - 402

      김씨에 의한 왕위독점세습 이룸. 왕권 강화되어 대군장 뜻하는 ‘마립간’ 왕호를 사용함(왕호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름). 낙동강 유역까지 영토를 확장함. 고구려 광개토대왕 도움으로 왜군 격퇴함.

      ​18대 실성마립간

      402 - 417

      김알지의 후손(김씨). 왕비는 제13대 미추이사금의 딸. 내물마립간의 태자인 눌지를 제거하려다 오히려 죽임을 당함. 왕호는 삼국유사 기록에 따름.

      ​19대 눌지마립간

      417 - 458

      17대 내물마립간의 아들(김씨). 맏아들이 왕위를 계승하는 장자상속제를 확립함. 433년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견제함(나제동맹).

      ​20대 자비마립간

      458 - 479

      19대 눌지마립간의 맏아들(김씨). 왜와 고구려의 잦은 침략에 시달림.

      ​21대 소지마립간

      479 - 500

      20대 자비마립간의 아들(김씨). 백제·가야와의 동맹을 공고히 하고 민생을 중시하는 정치를 펼침.

      ​22대 지증왕

      500 - 514

      17대 내물마립간의 증손. 503년 나라 이름을 '신라'로, 왕호를 '왕'으로 바꾸며 왕권을 강화함. 순장법을 폐지하고 울릉도 우산국을 정복함.

      23대 법흥왕

      514 - 540

      22대 지증왕의 맏아들. 율령 반포, 불교 공인(백성의 사상 통합), 골품제 정비, 상대등 설치 등을 통해 중앙집권적 고대 국가 체제를 완성함. 금관가야 병합.

      ​24대 진흥왕

      540 - 576

      화랑도를 국가조직으로 공인하고, 황룡사 건립하여 신라의 국력 과시. 한강 유역 모두 장악, 대가야 병합, 함흥평야 진출 등 신라 최대의 영토를 개척함(진흥왕 순수비).

      ​25대 진지왕

      576 - 579

      24대 진흥왕의 둘째 아들. 거칠부를 상대등에 임명해 국정을 맡김.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재위 4년 만에 폐위됨.

      26대 진평왕

      579 - 632

      24대 진흥왕의 손자. 행정조직을 정비해 왕권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실시함.

      ​27대 선덕여왕

      632 - 647

      26대 진평왕의 맏딸이자 신라 최초의 여왕.

      28대 진덕여왕

      647 - 654

      성골 출신의 마지막 왕. 당나라와의 외교관계를 더욱 강화함.

      ​29대 태종무열왕

      654 - 661

      신라 최초의 진골 출신 왕(폐위된 진지왕의 손자).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짐.

      ​30대 문무왕

      661 - 681

      29대 무열왕의 맏아들. 삼국 통일을 이루어 낸 왕.

      31대 신문왕

      681 - 692

      30대 문무왕의 맏아들. 전제왕권이 확고하게 자리 잡힌 시기.

      32대 효소왕

      692 - 702

      31대 신문왕의 맏아들. 6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

      ​33대 성덕왕

      702 - 737

      31대 신문왕의 둘째 아들. 신라 역사상 가장 태평성대한 시기로 평가됨. 당나라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함.

      ​34대 효성왕

      737 - 742

      33대 성덕왕의 둘째 아들. 왕실의 전제왕권이 점차 약화됨.

      ​35대 경덕왕

      742 - 765

      33대 성덕왕의 셋째 아들. 전제왕권 재강화를 위해 노력함.

      ​36대 혜공왕

      765 - 780

      35대 경덕왕의 아들(태종무열왕의 마지막 직계손). 8세에 즉위, 왕권이 약해지고 정치적 반란사건이 많았음.

      37대 선덕왕

      780 - 785

      17대 내물왕의 10대손. 신라 하대(下代)의 첫 번째 왕.

      38대 원성왕

      785 - 798

      17대 내물왕의 12대손. 788년, 독서 삼품과를 실시함.

      39대 소성왕

      799 - 800

      38대 원성왕의 손자

      40대 애장왕

      800 - 809

      39대 소성왕의 맏아들. 13세에 즉위함. 숙부들이 일으킨 반란에 의해 시해됨.

      ​41대 헌덕왕

      809 - 826

      38대 원성왕의 손자이자 소성왕의 친동생.

      ​42대 흥덕왕

      826 - 836

      38대 원성왕의 손자이자 소성왕/헌덕왕의 친동생.

      ​43대 희강왕

      836 - 838

      38대 원성왕의 증손자, 조부는 원성왕의 셋째 아들인 김예영.

      ​44대 민애왕

      838 - 839

      38대 원성왕의 증손자, 조부는 원성왕의 맏아들인 혜충태자 김인겸.

      ​45대 신무왕

      839 - 839

      38대 원성왕의 증손자, 조부는 원성왕의 셋째 아들인 김예영이며, 제43대 희강왕의 사촌임. (관련인물 : 장보고)

      ​46대 문성왕

      839 - 857

      45대 신무왕의 맏아들

      47대 헌안왕

      857 - 861

      45대 신무왕의 이복동생

      48대 경문왕

      861 - 875

      43대 희강왕의 손자이자 제47대 헌안왕의 사위

      ​49대 헌강왕

      875 - 886

      48대 경문왕의 맏아들

      50대 정강왕

      886 - 887

      48대 경문왕의 둘째 아들

      ​51대 진성여왕

      887 - 897

      48대 경문왕의 딸로 신라시대 마지막 여왕

      ​52대 효공왕

      897 - 912

      49대 헌강왕의 서자. 후백제와 후고구려의 공격에 시달림.

      ​53대 신덕왕

      912 - 917

      8대 아달라왕의 먼 후손(박씨). 916년 견훤에게 대야성을 공격당함.

      ​54대 경명왕

      917 - 924

      53대 신덕왕의 아들(박씨). 신라 국력이 크게 쇠퇴하여 경주를 중심으로 한 주변지역만 다스리게 됨.

      55대 경애왕

      924 - 927

      54대 경명왕의 동생(박씨). 927년 포석정에서 제사를 지내다 견훤의 습격을 받고 스스로 목숨을 끊음.

      56대 경순왕

      927 - 935

      신라의 마지막 왕(김씨), 견훤에 의해 왕위에 오름. 경순왕 9년에 자진하여 고려 태조에게 항복함.